Congenital Dropsy in Korean-native Calf

한우 송아지의 선천성 전신수종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A 4-year old Korean-native cow of third parturition delivered an deformed calf with congenital anasarca and hypoplasia of the extremity at Muan County in Chonnam Province. At parturition, the dam showed amniotic fluid approximately two times more than that at the normal and also occurred severe dystocia. The anomaly died before parturition was 82 cm long and weighed 25 kg.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neck and face of the anomaly due to severe edema and the stretched tongue through mouth was found. The shape of the extremity was recognizable and the systemic hypoplasia of the body with marked edema was found. At necropsy, there was a large amount of serous fluid both in pleural and peritoneal cavity. Also the fluid was contained some of yellowish granular materials and diffusely was fulfilled in all subcutaneous tissue. There was a partial opening in diaphragm which was resulted in the protrusion of approximately half of liver toward peritoneal cavity. There were two kidneys (15${\times}$21 and 13${\times}$18 cm) on the left which were enlarged and relatively larger than the right one (13${\times}$9 cm). In addition, there were found slight to moderate hepatomegaly and splenomegaly with slight congestion, and diffuse edema of intestinal serosa. Lung (32${\times}$49 mm) with marked hypoplasia was smaller than the size of heart (56${\times}$45mm). Serological test to the dam showed relatively high antibody titer (>64) to Akabane virus which might be involved in the outbreak of the deformed Korean-native calf as one of many causative agents.

선천성 전신수종과 함께 체간의 형성부전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 기형 송아지를 해부학적 및 혈청학적으로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형의 송아지는 정상 송아지의 2/3 정도 크기 (체장 82cm, 무게 25kg) 이었다. 태자는 외관상 목과 몸통의 구분이 어려웠고 두부에서 포는 보이지 않았으며, 목에 해당하는 부분에 혓바닥을 물고 있는 입이 있었다. 사지의 형태는 유지하고 있었으나 체간의 형성부전으로 기형을 나타내었고 얼굴을 비롯 몸통 전체의 피하에 심한 수종에 의해 파동성을 보였다. 부검시 흉강과 복강내에 맑은 장액성 액상물질이 가득 차 있었고 피하조직내에도 같은 물질의 저류로 인해 피부와 피하의 구별이 되지 않았다. 더불어 이들 수종성 피하에는 연황색의 과립양 물질들이 다수 혼재되어 있었다. 내부장기는 거의 식별하기 어려웠고 흉강과 복강이 부분적으로 개통되어 간의 일부가 흉강쪽으로 빠져 나와 있었다. 폐는 크기가 32$\times$49 mm로 심장(56$\times$45 mm) 보다도 더 작게 위축되어 있었다. 복강에서는 두 개의 수종성 좌측 신장 (15$\times$21cm, 13$\times$18cm)과 1 개의 우측신장 (13$\times$9cm) 이 있었고 이들의 할단면에서의 실질부위는 대부분이 낭포로 채워진 낭종성 기형을 나타내었다. 간은 담황색 변성과 종대를 보였고, 비장은 부종, 충혈 및 종대가 관찰되었으며, 부종성 소장과 대장은 장관의 형태는 유지하고 있었으나 장간막에 황색 결절이 미만성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한편, 이 기형 송아지의 발생 원인체 중 하나로 모우에서 64 배 이상의 높은 중화 항체가를 보인 Akabane 바이러스가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