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structive Modeling Process in the Form of 'Visual Mathematics'

시각수학과 원리 확장적 모델링 프로세스

  • 김진희 (백제예술대학 컴퓨터그래픽과)
  • Published : 1999.05.01

Abstract

Carlo H. Sequin, a computer scientist, became to know a sculpture of subtle space construction which was created by Brent Collins, a sculptor, and introduced it as 'Visual Mathematics' in a journal. Sequin who was able to deduce a basic logic of the construction, has developed a software which can be used for virtual modeling merely by substituting simple numerical values using a computer and supplied it to Collins. The present author who was exposed to their collaboration works through series of their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Leonardo, introduces the Collins' sculptures and the author's modeling procedures of animation works both of which show many common things in visual characteristics and modeling expansion method. The author investigates the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which is used as a basic motive of modeling and then supplied as a principal visual characteristics of a material. 'Modeling Development by Principle Expansion,' in which the expansion is developed on the base of space twist as for Collins whereas the space section as for the present author, is introduced in this study. With the same stream of the mutual reaction in 'arts, sciences and technology' which has been stress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s and technology, this modeling technology is suggested as a research theme which has a possiblity of various applications.

컴퓨터 과학자인 카를로 세퀸(Carlo H. Sequin)은 '시각수학Visual Mathematics)'으로 묘사되어 논문지에 소개된 조각가 브렌트 콜린스(Brent Collins)의 오묘한 공간 구성의 조각품을 보게 되었고 그 구성의 근본적 논리성을 추론할 수 있었던 세퀸은 컴퓨터를 활용하여 간단 한 수치의 입력만으로 가상 모델링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콜린스에게 제공하게 되었다. 저널 레오나도(Leonardo)에 게재된 동반 논문을 통해 두 사람의 협력작업의 내용을 접하게 된 본 저자는 시각 특성과 모델링 전개 방식에서 유사성을 보이는 콜린스의 조각 작품과 본 저자의 애니메이션 작품의 모델링 과정을 이 논문에서 소개하고 있다. 모델링의 근 본적 모티브로 사용되어 그 물체의 주요한 시각적 특질로 제공되고 있는 수학적 특성을 탐구하고 있으며 콜린스의 경우에는 공간 왜곡을 본 저자의 경우에는 공간 분할을 근본 원리로 하여 확장이 전개되고 있는 '원리 확장적 모델링 방식'을 소개하고 있다. 기술과 과학의 발전과 함께 고양되어 온 '예술, 과학 그리고 기술(Arts, Sciences and Technology)'의 상호작용성과 같은 맥락에서 이 모델링 기법을 다양한 응용 가능성이 있는 연구 테마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