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fChromic 필름을 이용한 Ho-166 의 혈관내 방사선조사를 위한 선량분포 측정

The Measurement of Ho-166 Absorbed Dose for the Endovascular Irradiation with a Balloon Angio Catheter Using a GafChromic Film

  • 강해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조철우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박찬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오영택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전미선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김영미 (원자력연구소) ;
  • 박경배 (원자력연구소)
  • 발행 : 1999.09.01

초록

심장 혈관 협착증 환자의 경우 수술후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혈관내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여 혈관내벽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사성 동위원소가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생산되는 Ho-166 도 그 중의 하나의 원소이다. 따라서 이 Ho-166 을 이용하여 혈관내 방사선조사를 할 경우 선량분포를 측정해 보았다. 혈관 내벽을 방사선 조사하는 방법은 풍선 혈관 카테터를 혈관내에 위치시키고 풍선 안에 액체 상태인 Ho-l66 동위원소를 채우고 일정시간 머물게 함으로써 시행된다. 선량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Solid water phantom 과 방사선 흡수선량에 따라 현상기에 현상을 하지 않아도 바로 필름 흑화도 변화를 볼 수 있는 GafChromic Film 을 사용하였다. 필름 흑화도 측정은 Videodensitometer를 이용하였으며 Co-60 빔에 검교정된 GafChromic 필름의 흑화도로 부터 풍선 혈관 카테터 안에 있는 Ho-166 동위원소에 의한 선량분포플 측정하였다. 먼저 Co-60 빔을 이용한 GafChromic Film 의 calibration curve를 얻었다. 흡수선량 대 필름 흑화도 곡선 (H-D curve)은 직선을 이루지 않았으며 이는 densitometer에 쓰이는 광원으로 부터 짐작되는 결과이다. H-D 곡선을 이용하여 Ho-l66이 채워진 풍선 혈관 카테터로 부터의 거리에 따른 선량분포를 얻었으며 카테터 표면으로 부터 1 mm 떨어진 거리에서의 선량은 풍선 표면에서의 약 20% 정도 였으며 5mm 떨어진 거리에서는 풍선 표면 선량의 약 1% 정도로 급속히 떨어짐을 볼 수 있었다. 혈관내 방사선 조사시 중요한 것은 혈관 내 벽에는 원하는 만큼의 방사선량을 주어야 하지만 주변의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손상을 유지해야 하므로 선량분포가 동위원소로 부터 떨어졌을 때 급속히 감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이유 때문에 베타선 방출 핵종 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동위원소 Ho-l66 도 혈관내벽 방사선조사를 위한 하나의 좋은 핵종으로 이용할 수 있다.

The GafChromic film was used for the dosimetry of a balloon angio catheter filled with the radioisotope HO-166 for endovascular irradiation. The balloon angio catheter was 2 cm long and 3 mm in diameter when inflated. The isotope, Ho-166, was produced by the neutron bombardment using the research reactor i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ititute. Co-60 teletherapy beam was used for making H-D curve for the Gaf-Chromic film. The film dosimetry was measured with a videodensitometer. The radial dose distribution indicated that the absorbed dose dropped to about 20% of the surface dose at the 1 mm away from the balloon surface and at 5 mm position the dose decreased to below 1% of the surface dose. The result also shows that with the specific activity of Ho-l66, 250 mCi/ml it takes 230 seconds to deliver 1200 cGy to the region where is 1mm away from the balloon surface. The concentric isodose curves were also presented. The Ho-166 is an another alternative for endovascualr irradiation to prevent restenosis after PTCA (Percutaneous Trans Coronary Angioplas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