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한 호르텐스극구흡충의 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Antigenic Localization in the Tissues of Echinostoma hortense Observed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 Yoon-Kyung Jo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Dongnam Health College) ;
  • Yong-Suk Ryang (Department of Medical Technolog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 Kyu-Je Lee (Department of Parasitology,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Insik Kim (Department of Medical Technolog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 Jang-Keun Ryu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Kyungsan University) ;
  • Mi-Sook Song (Department of Electron microscope Laboratory,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발행 : 1999.12.01

초록

호르텐스극구흡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성충을 획득하여 고정, 포매 및 절편하여 조직항원 분포 부위를 관찰하였다.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체는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흰쥐에게 경구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채혈한 혈청과 호르텐스극구흡충 조항원을 면역증강제와 함께 흰쥐에게 근육 주사하여 채혈한 혈청을 이용하였으며, 이 혈청을 반응시켜서 호르텐스극구흡충 조직내의 항원성 분포를 규명하였다. 한편, 면역황금표식법에 의한 미세조직의 항원성 반응 여부는 조직에 표지된 황금입자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충체 조직에서 황금입자와 강하게 반응하는 미세조직은 표피층의 표지합포체, 난황세포의 구성물질, 유연조직의 분비과립 그리고 배설낭의 구성물질 등에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항원은 생식세포와 소화분비 및 소화관계통에서 분비 유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olved applying rat sera (control, infected and immunized) to adult worm tissue in order to measure the antigenic response. A serum was obtained from rats infected with E. hortense metacercaria for 4 weeks. Another immunized serum was taken from rats given a muscle injection with crude adult worm antigen. The detection of antigenic response in E. hortense tissue was made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and measured through gold particles impregnated in the tissue. The antigenic sites, those with the highest density of gold particles, were the tegmental syncytium, vitelline cells, seminal receptacle and cecu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