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ydroelastic Experimental Techniques of Very Large Box-shaped Floating Structures with Shallow Draft

천흘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유탄성 모형시험 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신현경 (울산대학교 수송시스템공학부) ;
  • 박인규 (울산대학교 수송시스템공학부) ;
  • 신현수 (울산대학교 수송시스템공학부) ;
  • 김성겸 (울산대학교 수송시스템공학부) ;
  • 양영수 (울산대학교 수송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1999.11.01

Abstract

In this paper hydroelastic experimental techniques of very large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model test carried out in the UOU Ocean Engineering Wide Tank. The prototype is a box-shaped floating structure with length of 300m, breadth of 60m, depth of 2m and draft of 0.5m and longitudinal bending rigidity as $4.87{\times}10^{10}kgm^2$. The scale ratio is 1/42.857. The model is realized by aluminum square pipes with the section dimension of $20mm{\times}20mm$. The numbers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pipes are 7 and 35 respectively. Heave motions at selected points are measured with potentiometers and bending moments with strain gages.

본 논문에서는 해상공항 등 그 길이가 수 km에 달하는 초대형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대모형 실험기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형실험 기법을 바탕으로 한 실제 실험을 수행하여 초대형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유탄성 운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모형실험의 구조물로는 일본의 메가플로트 구조물($L{\times}B{$\times}D=300m{\times}60m{\times}2m$)을 대상으로 7m급의 모형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에서는 모형의 유탄성 거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3행 9열의 지점에 포텐셔미터를 설치하였으며, 선수, 선미, 중앙부의 양 끝단에 8개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일본조선학회논문집 no.180 On the Hydoroelastic Response of Box-Shaped Floating Structure with Shallow Draft-Tank test Kiyokazu Yago;Hisayoshi Endo
  2. 일본조선학회논문집 no.183 On the Hydoroelastic Response of Box-Shaped Floating Structure with Shallow Draft-3rd Report Kiyokazu Yago;Shoichi Hara
  3. Instruction manual, Revised Strain gage and Temperature Sensor KYOWA
  4. Operational Amplifier Robert G. Irvine
  5. 울산대학교, 과학기술처, 3차년도 연구보고서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관한 연구-초기설계지침서 신현경(외)
  6. 디지털 필터설계 이문호
  7. 영상인식 김희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