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for Suburban Housing Estates in Korea Rural Areas

한국형 전원주택단지의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엄붕훈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 우형택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환경과학과)
  • Published : 1999.04.01

Abstract

Recently, new concept and paradigm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s taking a grow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principles, based on the concept of ESSD,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or korean rural housing estates. A sustainability indices system, which is composed of 5 principles, 16 categories, an 37 estimation items, was finally established. Fiv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or rural housing estate were. 'Sustainable Land Use', 'Interdependence of Men and Nature', 'Ecological Principles and Diversity', 'Efficient use of Energy and Recycling', and '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eighting values of each indicators, such as estimation items, categories, and principle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 of AHP etc. The questi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experts of four related major fields. Finall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stainability indices system were verified.

Keywords

References

  1. 지속가능한 정주지 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 연구(1) 건설교통부
  2.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단지 계획 지침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3. 생태도시계획론;에코폴리스 계획의 이론과 실제 김귀곤
  4. SAS라는 통계상자 김충련
  5.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지속성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김훈회
  6. 국제심포지움 자료집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개발 가능성. : 한국조경사회. 환경친화적 단지조성 사례연구 김현수
  7. 대전광역시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구체적 추진방안 연구 대전광역시
  8.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9.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도권지역 단지형 전원주택 개발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박선규
  10. 대한국토도시 계획학회지 v.33 no.3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개발방향연구 박원규(외)
  11. 한국조경학회지 v.26 no.3 주거단지 환경지속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중요 평가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박원규;안건용
  12. 환경과 조경 v.101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개발사례 박진영
  13. 생태마을과 퍼머컬쳐에 관한 국제 심표지움 및 디자인 워크샵 서울대학교
  14. 환경논총 v.31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환경적합성 평가 양병이
  15. 환경논총 v.33 지속가능한 설계 양병이
  16.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v.32 no.2 지속가능성 지표에 의한 우리나라 주거단지의 환경친화성 평가에 관한 연구 양병이
  17. 대구대 과학기술연구소 도시환경 심포지움 논문집 v.2 새로운 환경계획 개념으로서의 지속가능한 개발 엄붕훈
  18. 대산논총 v.6 환경친화적 농촌 관광농원의 환경지표 모델에 관한 연구 엄붕훈
  19.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v.33 no.3 수치변환척도 및 단순화 방식 적용에 따르 계층분석과정(AHP)의 일관도 및 정확도의 분석 이인성
  20. 세미나자료집 생태마을 만들기 그 현황과 과제 전국귀농운동본부
  21. 환경보전형 주거단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2. 환경친화적 외부공간 조경설계 지침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3. 공동심포지움 자료집 지속가능한 개발과 생태계 복원 한국조경학회;한국생태학회
  24. 환경친화적 단지계획 기법 한국토지공사
  25. 전원주택단지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26. 서울대 환경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기본계획 한영해
  27. 한국환경기술개발원 연구보고서 생태도시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사업 환경부
  28. 서울시립대 박사학위 논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환경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황정환
  29. 한국주거학회 97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8 環境重視のまさつくりと住宅地 佐藤誠治
  30. 한국주거학회 97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8 環境を考慮した住宅團地計劃について 內田勝巳
  31. 硏究報告書, 鹿兒島縣住宅共給公社 宋元ニユタニユタうン環境共生住宅モデル建設基本計劃策定委託 業務 鹿兒島縣住宅共給公社
  32. Engineering News-Record Architects Engineers Marry Sustainable-Design Efforts Construction Publication Group;Nadine M. Post(ed.)
  33. The Global Eco-village network GEN
  34. Landscape & Urban Planning v.27 no.3 In search of new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rural areas in the Netherlands Hidding Marjan C.
  35. M.S. Thesis in Florida A&M Univ. Guidelines and Principles for Sustainable Community Design Hsin, Robert
  36. Landscape & Urban Planning v.27 no.3 Strategic planning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Jurgens. Clifford R.
  37. Regenerative Desig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yle, John
  38. Guiding Principles of Sustamable Design National Park Services, USDI
  39. Sustainability:The Environment and Urbanization. Pugh, Cedric
  4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Saaty, T.
  41. Sustainable cities Walter, B.(et al.)
  42.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Wheeler, Step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