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 Self or State as a Desired Source of Support for the Elderly

노후부양의 바람직한 자원으로서의 가족, 자신 및 국가에 관한 한국 노인들의 태도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Family, Self or State as a Desired Source of Support for the Elderly As Korean society has undergone rapi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 and reached the final stage of its demographic transition, the central emphasis of population policies in Korea has shifted from fertility and population control to aging issues. Recently, it has been advoca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intensive public services to supplement self-care and family caregiving, heightening the need to know more about the norms and expectations of old-age support and how they will change. Using the Survey of the Living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in 199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the Korean elderly themselves view family, self, or the state as desired sources of support. The multinomial log it model analysis reveals that the elderly without a son are less likely to emphasize the traditional view of family, while economically and physically better off elderly are more likely to favor the view of self-support. However, the idea that the emphasis on the 'state responsibility' may be found among those elderly who are in need of financial help and in poor health is not support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하고 있는 한국사회가 인구변천의 마지막 단계에 진입하면서 인구관련분야의 정책의 핵심은 출산과 인구통제에서 노령인구의 문제로 옮겨지고 있다. 최근들어 국가가 자가부양(self-care)이나 가족부양(family care)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적 서비스(public service)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강조됨에 따라 노인부양규범이나 공적 서비스(public service)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강조됨에 따라 노인부양규범이나 의식의 현황 및 변환에 관한 이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94년 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노인생활실태조사>를 이용하여 노부모들이 어느 정도로 가족, 자신 그리고 국가를 바람직한 노후생활의 부양원으로 보는가를 알아 보고 있다. 다항로짓 모형에 근거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아들이 없는 노부모인 경우 가족이 노인을 부양해야 한다는 전통적인 견해가 약하고, 경제나 건강상 여건이 좋은 노인일수록 자가부양의 견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거나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노인들이 국가의 책임을 강조한다고 가정한 가설은 본 연구결과 지지 받지 못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적 함의나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 등은 결론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