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강수량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stimation of Annual Average Rainfall Erosivity based on Monthly Precipitation (월강수량 기반의 연평균 강우가식성 지표 추정방법 평가)

  • Lee, Joon-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30-430
    • /
    • 2022
  • 20년 이상의 분단위 강우자료가 없는 지역에서는 연강수량, 월강수량, 일강수량 등을 이용하여 강우가식성지표를 추정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에서 월강수량을 이용한 연평균 강우가식성지표 추정방법은 Fouriner Index, Modified Index, IAS index, Modified IAS index 등 학계에서 다양한 모델이 제시된 바 있다. 국내에서는 1971 ~ 1999년 기간의 기상청 관측지점에 대한 평가가 일부 이루어진 바 있으나, 월강수량을 이용한 추정모델에 대한 후속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1981 ~ 2020년 기간의 기상청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월강수량 기반 강우가식성지표 추정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선행 연구에서 기산정된 지점별 연평균 강우가식성지표 값을 바탕으로, 월강수량 기반의 기존 추정모델로 산정한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월강수량을 이용하여 연평균 강우가식성지표를 추정할 수 있는 경험식을 업데이트 하여 제안하였다.

  • PDF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ea averaged monthly precipitation on Han- and Nakdong-river basins for 1954-2002 (한강 및 낙동강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기후 특성 분석)

  • Baek, Hee-Jeong;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23-1227
    • /
    • 2004
  • 강수량의 대부분이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기반에 필요한 용수 확보를 위한 댐 수위 조절 등의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강수량의 장기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장기예측에 앞서 강수량의 기후 특성 분석은 예측을 위한 기반 자료로서 필요하다. 따라서 한반도 기상 관측소 자료로부터 1954년부터 2002년 49년동안 한강과 낙동강 유역의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기후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역평균 월강수량은 Thiessen 가중법을 사용하여 산출되었으며, 4월 유역평균 강수량은 감소 경향이 뚜렷하고, 8월 유역평균 강수량은 증가 경향이 매우 뚜렷하였다. 또한 두 유역에 있어서 1970년 중반에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변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NINO3 지수와 한강과 낙동강 유역평균 월강수량 편차와의 동시상관관계에서 유역평균 9월 강수량은 NINO3 지수와 지속적인 음의 상관을 보였고, 11월 유역평균 강수량과는 양의 상관이 크게 나타났다. 우기 동안 한강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극한 사상의 종관 특성 분석을 위한 합성도에서 다우해(above normal year)인 경우에는 주로 대륙에 1000 hPa 고도의 음의 편차, 해양에 양의 편차의 중심이 놓여 있어 다우 시기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강화와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8월 유역평균 강수량은 한반도 상공의 제트 강화와 관련되어 있었으며, 9월 유역평균 강수량의 경우에는 제트 출구의 북쪽에서의 양의 편차, 남쪽에서의 음의 편차 및 하층 바람장의 수렴과 관련되어 나타났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onthly Precipitation in Korea and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 (우리나라의 월강수량과 범지구적 해수면온도의 상관성 분석)

  • Oh, Tae Suk;Moon, Youn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2B
    • /
    • pp.237-248
    • /
    • 2008
  • Precipitation variability in Korea is mainly influenced by climate circulation such as sea surface temperature, not a local convec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monthly precipitation of 61 station observ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s (SSTs). The main components of monthly precipitation in Korea are extracted by a method which consists of the principal analysis combined with the cluster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monthly rainfalls and SSTs. The relationships between main components of monthly precipitation and SSTs exists in Pacific Ocean. At the result of Wavelet Transform analysis, The 2-4 year band have a strong wavelet power spectrum and the low frequenc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low frequency components of monthly rainfalls and SSTs calculated bigger the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ain components and SSTs. Hence, these results propose a prediction possibility of monthly precipitations using the varition of SSTs.

Monthly Precipitation Forecast Using Genetic Algorithm (ANFIS 모형을 이용한 월강수량 예측)

  • Shin, Ju-Young;Jeong, Chang-Sa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81-1185
    • /
    • 2009
  • Adaptive Nuero-Fuzzy Inference System(ANFIS) 모형은 인공신경망과 퍼지모형의 특징을 가지는 모형으로 자료간의 관계가 선형이 아닌 비선형관계를 가질 경우 매우 정확한 예측 모형을 구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월강수량 예측이 관측된 기상자료들과 비선형 관계에 있다고 생각되어 ANFIS 모형을 이용하여 월강수량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지점으로는 금강유역의 대전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금강유역은 우리나라의 한가운데 위치하여 평균적인 강수형태 및 특징을 보여 좋은 실험유역으로 생각되어 선정하였다. 금강유역의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지상 유인관측소 중 비교적 금강유역을 대표하고 양질의 자료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대전지점을 실험지점으로 생각되어 선정하였다. 기상청 대전 유인 관측소에는 총 39년치 기상 자료가 기록되어 있다. 기상청에서는 전국 주요 도시들을 대상으로 2003년부터 월간 예보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월간예보와 기상청 대전 유인관측소에서 관측된 5년 치 기상자료를 모델의 입력자료로 구성하였다. 적절한 입력변수 조합을 구성하기 위하여 반복해법을 적용하였다. 5년 치 자료 중 절반은 학습을 시키는데 사용하였고 나머지 절반을 이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여러 입력변수를 이용하여 모형의 학습시킨 결과 입력변수가 3개 일 경우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입력변수가 3개로 학습 시킨 ANFIS 모형과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월간예보를 비교해본 결과 ANFIS 모형을 적용하여 월 강수량을 예측하는 것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월간예보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ssessment of Depth-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Seoul (기후변화에 따른 서울지역의 강우-지속기간-빈도 관계 평가)

  • Shin, Ju-Young;Joo, Kyoung-Won;Kim, Soo-Young;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70-374
    • /
    • 2011
  • 기후변화에 따른 수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확률강수량을 알아야 한다. Global Circulation Model(GCM)은 미래의 기후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많은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GCM의 시간축척은 일반적으로 월단위로 시간단위 자료를 사용하는 수공학 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GCM 예측값은 실강우값과 큰 편의(bias)를 가지고 있어 직접적인 적용이 힘들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다운스케일(downscale)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다운스케일기법을 적용하여 시간자료를 예측하면 전반적인 통계값을 잘 재현해내나, 극치값의 경우 잘 재현해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 월강수량과 연최대 시간강수량의 이변량빈도해석을 통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지속기간-빈도 관계의 변화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최대 월강수량과 연최대 시간강수량과의 관계가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관측강수량을 이용하여 연최대 월강수량과 연최대 시간강수량의 이변량분포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변량 분포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copula 모형을 적용하였다. 구축된 모형에 GCM으로 예측된 연최대 월강수량을 적용하여 미래의 확률강수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점을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A2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적용한 GCM 예측값을 이용하였다. 적용결과 A2 기후변화 시나리오 상에서 미래의 확률강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A Study of Quantitative Monthly Precipitation Forecast (정량적인 월강수량 예측에 관한 연구)

  • Shin, Ju-Young;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25-1629
    • /
    • 2010
  • 효율적인 장기 수자원 운영을 위하여 미래의 강수량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월 또는 계절단위의 강수량의 정량적인 예측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상청에서 향후 3개월의 강수량과 온도에 대하여 정성적으로 예측을 하고 있다. 정성적인 예측은 적음과 많음만을 나타내어 정보를 활용하기에 많은 제약이 있다. 기상수치모형을 통한 예측의 경우 월간과 같은 시간스케일에서 정량적인 예측이 가능하나 예측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정성적인 예측을 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기상수치모형을 이용하지 않고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여 월강수량을 예측하고자 한다. 기존의 통계학에서 사용되는 시계열 모형과 자기학습모형 등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월 강수량을 예측하는 다양한 모형을 구성하고, 각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The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nthly Precipitation over Han- and Nakdong-river Basins: Part I. Variability of Area Averaged Time Series (한강과 낙동강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기후 특성: I. 유역평균 시계열의 변동)

  • Baek, Hee-Jeong;Kwon, Won-T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2
    • /
    • pp.111-119
    • /
    • 2005
  • The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veraged monthly precipitation over the Han- and Nakdong-river basins were investigated.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monthly precipitation data from 51 meteorological stations for the period of 1954 to 2002. The magnitude of area averaged precipitation in the Han-river basin was about 10% larger than that in the Nakdong-river basin. However, the variability of two monthly precipitation time series exhibited similar characteristics: April precipitation tends to decrease and August precipitation increase significantl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trend for the other months. There were some indications of abrupt change around the 1970's in the periodicity of precipitation and relationship with El Nino index. September precipit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NINO3 index but November precipitation, positive correlation with NINO3 index, indicating a possible connection with the global-scale phenomena.

Effects of Climatic Elements on Soybean Yields (콩의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 평가)

  • E-Hun Ki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7 no.4
    • /
    • pp.320-328
    • /
    • 1992
  • The soybean yield forcasting models based on climatic elements in six locations were estimated by the STEPWISE/MAXR, Cp statistics and GLM procedure of SAS. The climatic elements were aerial temperature, sunshine hours and precipitation from May to October in 20 years. The investigated six locations were Chunchon, Suwon, Cheongju, Kwangju, Iri and Jinju. The important climatic elements for main effects in Chunchon model were August sunshine hours-linear term, August precipitation-quadratic. June temperature to August precipitation and May temperature to August precipitation were interaction terms. The quadratic August precipitation was assumed to be related to yield in Chunchon. The main effects of Suwon were linear-June temperature, quadratic June sunshine hours and June precipitation. These terms affected yields negatively. The main effects of Cheongju were linear June temperature and quadratic August precipitation. May temperature to June precipitation, July to August precipitations were interactions. The main effects of Kwangju were linear July precipitation, quadratic June temperature and July precipitation. June to July sunshine hours of interaction terms influenced yield negatively. The main effects of Iri were linear May sunshine hours, quadratic May and July sunshine hours. May temperature to May precipitation and June to July precipitations affected yields negatively. The main effects of Jinju were linear June and August precipitations. August temperature to August sunshine hours, June sunshine hours to July precipitation and June to August precipitation were interactions. In linear terms, June and August precipitations and, in interactions, August to August sunshine hours were negative efficacies respectively. The included year variables in Chunchon, Suwon, Kwangju, and Jinju model building were recognized as a linear trend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technological factors have improved through times.

  • PDF

Analysis of Hydrologic Time Series Using Wavelet Transform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수문시계열 분석)

  • Kwon, Hyun-Han;Moon,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6 s.155
    • /
    • pp.439-448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the wavelet transform that was improved by the fourier transform to assess periodicities and trends, we assessed propriety with examples of two monthly precipitation data, annual precipitation, SOI index and SST index. The wavelet transform can effectively assess the power spectrum corresponding to frequency as maintaining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wavelet transform showed that the monthly precipitation have the strongest power spectrum near that of 1 year, and the annual precipitation represent the dominated spectrum in the band of 2-8 years. Also, the SOI index and SST index indicate the strongest power spectrum in the band of 2-8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