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니뇨/남방진동과 한국의 가뭄과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I Ni o/Southern Oscillation and Drought in Korea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Lee, Dong-Ryul (Senior Researcher,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Research Div., KICT)
  • 발행 : 1999.04.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인 엘니뇨/남방진동(ENSO)과 한국 가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가뭄의 지표로서 Palmer 가뭄심도지수(PDSI)와 9개 ENSO 관련 지수들에 대한 Pearson 상관분석 및 Spearman 순위상관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PDSI를 계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월강수량 및 월평균기온을 이용하여 PDSI 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PDSI, 강수량 및 하천유량에 대한 ENSO 합성백분위수 분석을 통하여 교차상관분석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교차상관분석 결과 ENSO와 우리나라 가뭄은 통계적으로 ENSO가 16개월 정도 선행하는 유의적인 연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한국 가뭄의 지수인 PDSI의 총변동의 6%만 ENSO 지수의 변동에 의하여 설명되고 있어 가뭄을 ENSO 관련 지수만으로 연관시켜 예측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ENSO의 해양성분인 적도 태평양 해수면온도와 다윈의 해면기압과 한국의 PDBI는 부(-)의 관계이고, 남방진동진수 및 타이티의 해면기압과 관계는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과거 발생한 ENSO 기간의 PDSI, 강수량 및 하천유량의 ENSO 합성백분위수의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가뭄은 엘니료가 끝나는 해 12월부터 6개월 동안 평균이하의 PDSI가 지속되어 엘니뇨의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같은 기간에 강수량과 하천유량도 평균이하를 보여 가뭄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EI Nino-Southern Oscillation(ENSO) and drought in Korea is investigated using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In this paper,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PDSI) is used as an index of drought and nine ENSO indicators are used. To obtain PDSI for Korea, the PDSI equation is derived using monthl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 Korea. In addition, ENSO composite percentile analyses for PDSI, precipitation and streamflow in Korea are performed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cross correlation. Results of the cross correlation show that the link between drought in Korea and ENSO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6% of the variance in PDSI for Korea explained by ENSO. The PDSI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quatorial Pacific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e Sea Level Pressure(SLP) at Darwin leading by about 16 months. However, the relationship of the PDSI with the Southern Oscillation Index and the SLP at Tahiti is positive correlation. The ENSO composite percentile analyses show that drought, precipitation and streamflow in Korea are associated with ENSO during 6 months from December of the ENSO ending year

키워드

참고문헌

  1. 한반도 기후변화 감시 및 이상기상에 관한 연구(Ⅰ) 과학기술처
  2. 한국기상학회지 v.33 no.3 한반도 기온 및 강수량과 적도 태평양 해면 온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안중배;류정희;조익현;박주영;류상범
  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30 no.4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윤용남;안재현;이동률
  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31 no.6 엘니뇨 및 라니냐와 한국의 기온 및 강수량 관계 이동률
  5. Climate Bulletin, 엘니뇨/라니냐 특집호 v.3 no.1 남방진동지수와 한반도 강수량과의 관련성 이용희
  6. 한국기상학회지 v.31 no.4 겨울철 서울 기온의 경년변동과 태평양 해면온도와의 상관성 연구 하경자
  7. 지구규모 대기환경 기초 및 기반기술(기후변화 예측기술) 환경부;과학기술처
  8. Data: Current monthly atmospheric and SST index values Climate Prediction Center
  9. Journal of Hydrology v.204 El Ni$\~{n}$o/Southern Oscillation and Australian rainfall, streamflow and drought: Links and potential for forecasting Chiew, F.H.S.;Piechota, T.C.;Dracup, J.A.;McMahon, T.A.
  10. Currents of change: El Ni$\~{n}$o's impact on climate and society Glantz, M.H.
  11. Statistical Methods in Water Resources Helsel, D.R.;Hirsch, R.M.
  12. An Evaluation of the Palmer Drought Index in Southern Saskatchewan, Report No. CSS-R84-01 Jones, K.H.
  13. Water Resources Research v.29 no.8 U.S. streamflow patterns in relation to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Kahya, E.;Dracup, J.A.
  14. Journal of Climate v.2 no.9 Global climatic anomalies associated with extremes in the Sourthern Oscillation Kiladis, G.N.;Diaz, H.F.
  15. Definitions of El Ni$\~{n}$o, La Ni$\~{n}$a, and ENSO NOAA
  16.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45 Palmer, W.C.
  17. Water Resources Research v.32 no.5 Drought and regional hydrologic variation in the United States: Associations with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Piechota, T.C.;Dracup, J.A.
  18.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gical Society v.78 no.12 The defintion of El Ni$\~{n}$o Trenberth, K.E.
  19. Monthly Weather Review v.110 no.5 Variation in tropic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urface wind fields associated with the Southern Oscillation/El Ni$\~{n}$o Rasmusson, E.M.;Carpenter, T.H.
  20. Monthly Weather Review v.114 no.12 North America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Ropelewski, C.F.;Halpert, 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