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배경: 식도암 절제 후 대치장기의 흉곽 내 경로는 환자의 상태, 암의 성상, 수술자의 기호나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있다. 그 중 개흉술 후 피하 통로나 흉골하 통로를 이용하는 방법은 수술시간이 길며 술후 호흡기 합병증 등이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대치장기의 흉곽 내 경로가 그러한 수술경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계획되었다. 대상 및 방법: 식도암 절제 후 재건술을 시행 받은 131명의 환자 중, 대치장기의 경로가 후종격(I군, n=34), 흉골 하부(II군, n=31), 피하(III군, n=21)로 만들어 준 86명을 선택하여 각각의 조기 성적 및 합병증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남녀는 각각 79명 및 7명이었다. 암의 성상은 편평 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이 81명, 악성 선종(adenocarcinoma)이 5명이었다. 각 군의 수술 전 몸무게, 키, 나이, 식도암의 병기 및 위치, 전신상태 평가, 폐기능에서 차이가 없었다. 조기 성적에서 수술시간에는 유의한 차이 없었으나, 술후 인공호흡기 사용시간은 I군 (평균 20.6시간)에서 II군(7.8시간) 및 III군(3.4시간) 보다 유의하게 길었다(p=0.005).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폐렴 등의 호흡기 합병증 때문에 III군(평균 6.4일)에서 I군(3.9일) 및 II군(3.1일) 보다 유의하게 길었으나(p=0.043), 술후 입원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술후 환자 일인당 수혈량은 I군에서 II군(1535mL), III군(1419mL) 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3833mL, p=0.04), 수혈을 받은 환자수도 II군(13/31명), III군(15/21명) 보다 I군에서 더 많았으나(30/34명, p=0.001) 출혈로인한 재수술 건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조기 사망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기 사망원인 중 패혈증은 I군에서 많았으나 문합부 유출과는 관계가 없었다. 그 외 조기 합병증과 후기 합병증, 평균 생존기간 등에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후종격, 흉골 하부, 피하 경로간에 조기 성적이나 합병증 및 생존율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식도암 절제 후 재건술에서 대치장기의 흉곽 내 통로 선정은 수술자의 기호와 경험이 수술 결과에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Background: Selection of reconstruction route in esophageal cancer surgery is based on the patient's status, characteristics of tumor, surgeon's preference and experience. Of the various routes, it has been documented that subcutaneous or substernal route may prolong operation time and may be vulnerable to postoperative respiratory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whether the selection of reconstruction route affects the surgical outcomes. Material and Method: Of 131 patients who have undergone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for esophageal cancer, posterior mediastinal route(Group I, n=34), substernal route (Group II, n=31), and subcutaneous route(Group III, n=2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in 86 patients. Results of early operations and morbiditi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 There was a male prevalence(79 of males vs. 7 of females). There were 81 squamous cell cancers and 5 adenocarcinoma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weight, height, age, cancer staging and location, and in the preoperative anesthetic risk evaluation and pulmonary function test(p=NS). Postoperative mechanical ventilation time was longer in Group I(20.6 hours) than in Group II(7.8 hours) or III(3.4 hours)(p=0.005). Duration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prolonged in Group III(6.4 days) compared to Group I (3.9 days) or II(3.1 days)(p=0.043). No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between the groups(p=NS). Blood transfusion was needed in 30 out of 34 patients in Group I compared to 14/31 in Group II or 15/21 in Group III(p=0.001). The mean amount of transfusion for each patient was also higher in Group I(3,833 mL) than in Group II(1535 mL) or Group III(1419 mL)(p=0.04),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reoperation due to bleeding. Ea ly mortality rate was substantially higher in Group I(17.6%) b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insignificant(p=NS). Although sepsis was a more prevalent cause of death in Group I, it was not related to anastomotic leak. Other morbiditi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p=NS). Conclusion: In above results show that the reconstruction route does not affect the outcome of esophageal cancer surgery. We believe that the selection of reconstruction route can be based on the surgeon's preference and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