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줄포만 간석지의 미지형을 무감독분류의 ISODATA 기법으로서 분석한 결과 mudflat, mixed flat, sandflat 의 3지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미지형들은 퇴적물 입도와 지형에 있어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mudflat은 내만쪽에 위치하고 snadflat은 만의 입구 그리고 mixedflat은 그 사이에 각각 분포하였다. 각 지역의 지형특성으로는 2m 내외의 갯골이 평탄면 사이에 분포하는 mudflat과 평균기복이 10cm 이하로서 아주 평탄한 지형으로 물결무늬가 발달한 sandflat 그리고 이 양자의 중간형태를 취하는 mixedflat 으로 구분되었다. 아울러 Landsat TM의 7개의 밴드중에서 밴드 5와 7이 간석지의 미지형분류, 밴드4는 육지와 간석지의 분류 그리고 밴드 3은 해면과 간석지의 분류에 각각 효율적임이 밝혀졌다.
Through the ISODATA method of unsupervised classification, the micro-landform of Julpo-Bay tidal flat was classified into mudflat, mixedflat, and sandflat using Landsat TM image. Each showed an apparent differences in it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grain size composition. Mudflat occupied innermost part of the tidal flat, sandflat located closest to the entrance of the bay and mixed flat in the center is. For example, mudlflats are formed with flat faces and tidal channel. Topographically, mudflat consist of tidal channels and flat intermediate surface. Its average relief of them is about 2 meter. Meanwhile, sandflat comprised very flat landform with well-developed ripple marks of less than 10cm average relief. And Mixed flat stood in between. In addition, Out of 7 bands of Landsat TM images, band 5 and 7 provided the highest power level for discrimination between micro-landforms of the tidal flat. Band 4 showed a clear boundary between the land and tidal flat, and band 3 did its share by showing well a boundary between the sea surface and the tidal fl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