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흐름, 의견차이, 거래량에 관한 실증연구

Information Flows, Differences of Opinion, and Trading Volumes : An Empirical Study

  • 유상엽 (강원대학교 경영.관광학부)
  • Rhieu, Sang-Yup (The facul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ouris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9.07.31

초록

본 연구는 정보흐름과 의견차이가 우리나라 주식시장과 KOSPI 200 선물시장의 거래량결정에 어떻게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선물시장 개장일인 1996년 5월 3일에서 1997년 9월 11일까지의 3개월물 선물의 종가 및 거래량, 동일 기간동안의 주식시장 932개 개별종목 종가 및 거래량, 동일 기간의 선물 미결제계약수와 대주잔고 일별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에 적합한 분석기법들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흐름이 선물시장 및 주식시장의 거래량 결정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시장전반적 정보보다는 기업특수적 정보에 의해 거래가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이하다. 둘째, 선물시장의 경우는 미결제계약수 변동이, 주식시장의 경우에는 대주잔고의 변동이 각 시장의 거래량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상호 비교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거래자들의 의견차이가 선물시장 및 주식시장의 거래량 결정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주식 및 선물 거래량의 요일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거래시간이 짧은 토요일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넷째, 선물시장의 경우, 만기일이 가까울수록 거래량이 증가하는 현상 즉, 만기효과도 뚜렷히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주식과 선물 거래량에 있어서도 시간의존적 이분산성을 보이는 ARCH효과가 분명히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rading volumes and our proxies for information flows and differences of opnion. Econometric methods to analyze the relations in the equity and KOSPI 200 futures markets includ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GMM) and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GARCH) models. Major findings from our empirical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i) Trading volume in both the equity and KOSPI 200 futures markets varies positively with proxies for information flows. We find that trading volumes in both markets are closely related to firm-specific information rather than market-wide information. (ii) Trading volumes in the equity and KOSPI 200 futures market have positive relations with our proxies for differences of opinion. (iii) Day-of-the-week effect is clear in both markets. Trading volumes in both the equity and KOSPI 200 futures markets tend to be relatively low early and late in the week. (IV) Futures contract life-cycle effect is clear. In other words, futures trading volume increses in the period around contract expiration. (V) In addition, ARCH effect on trading volumes is reported significant enough to take into account. The disturbance of trading volumes in both markets seem to be conditional heteroscedasti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