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커가 존재하는 전략적 정보거래모형의 평가

A Evaluation of Strategic Informed Trader Model with Broker

  • Kim, Sung-Tak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angji University)
  • 발행 : 1999.07.31

초록

현재 대부분의 우리나라 증권회사들은 고객주문의 위탁매매와 자기 자신들의 상품거래인 자기 매매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즉 이중거래(dual trading)가 가능한 브로커(broker)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증권시장시장 미시구조를 잘 설명하려면 브로커의 존재를 포함하는 새로운 모형의 개발이 중요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과제의 사전단계로 미국에서 발전된 브로커가 존재하는 전략적 거래모형들을 비교 분석해 보고 나아가서 우리나라 시장에 적합한 잠정적인 모형의 틀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990년 미국 시카고 선물시장에서 이중거래(dual trading)에 대한 규제조치를 신설한 이후 브로커가 존재하는 미시구조이론 모형 중에서 Sarkar의 모형(1995), Chakravarty의 모형(1994) 및 Chun, Oh, and Weller의 모형(1996)등 세 가지를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미시구조적인 관점에서 평가해 본다. 우리나라의 브로커(증권회사)들이 정보거래자를 식별하고 그들을 주문정보를 이용하여 거래를 할 수 있다는 뜻에서 Sarkar(1995)의 모형이 어느 정도 적용타당성이 있다는 것과, 최근 온라인 주식거래 등으로 인한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구조변화와 관련하여 Chun, Oh, and Welter의 모형(1996)의 적용타당성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지적하였다.

Many security companies in Korea play the same role as the broker who can do dual trading in the American securities market. It seems that the proper model for the Korean market microstructure should contain the existence of broker. But the broker occupied little attention in U.S. until the early 199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evaluate the strategic trader models of market microstructure theory which contain the broker as player. Three major models, Sarkar(1995), Chakravarty(1994), Chun, Oh, and Weller(1996) were compared and evaluated critically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security market microstructure. The model of Sarkar(1995) was evaluated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e Korean securities market context. Finally, limitations of this paper were indicated and some direc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