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keletal and dentoalveolar dimensions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patterns

안모의 수직적 양태에 따른 골격 및 치조골의 위치 관계에 관한 연구

  • Oh, JungSi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Yoon, Jung Hyun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Kook, Yoon-Ah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Kim, Sang-Cheol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오중식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 ;
  • 국윤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 김상철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the skeletal and dentoalveolar dimensions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patterns. Lateral cephalogram of 200 cases (100 cases of male and 100 cases of female, average age of which was 23.2 years) were traced and some measurements of skeletal and dentoalveolar dimensions were measured. The ratio of UAFH/LAFH was employed to classify the samples into groups of excess and short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And th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were taken statistac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dentoalveolar height,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lower genial angle, and FMA in the excess-lower-anterior-facial-height group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short-lower-anterior-facial-height group. 2. The dentoalveolar height, facial height, ramus height, and Jarabak ratio in the mal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the female subjects. 3. The UAFH/LAFH rati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upper, lower facial height, AUDH, PUDH, ALDH, PLDH, Lower gonial angle, FMA, and $Bj\"{o}rk's$ Sum.

교정 증례의 분석 및 예후 추정은 두개골의 수평 및 수직적인 관계가 동시에 고려되는 입체적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이 완료된 성인 남녀 각 100명을 추출하여 두부 방사선 사진을 채득한 후 하안면 고경과 상안면 고경의 비율로 안모의 수직적 형태를 구분하여 군을 설정하였으며 이들 군간의 골격 및 치조골의 크기와 위치 관계를 비교하고 상호 관련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조고경, 안면 고경, lower gonial angle, 그리고 FMA항목에서 하안면 고경이 큰 군의 것이 작은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2. 치조고경, 안면고경, 하악지 고경, 그리고 Jarabak ratio항목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3. 치성 및 골격성의 수직계측항목과 UAFH/LAFH의 상관관계 조사에서 치조고경, 안면고경, lower gonial angle, FMA, 그리고 $Bj\"{o}rk's$ Sum 항목이 UAFH/LAFH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