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현화리 청동기시대 집터 출토 숯의 수종과 재질 분석

Species and Macroscopic Analysis of the Charcoals Excavated From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at Hyeonwhari, Pyungteak

  • 박원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김수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Park, Won-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oo-Choul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발행 : 1999.12.01

초록

평택 현화리 청동기 시대 (약 2500-3100 B.P.)집터들 에서 발굴된 숯 741점에 대하여 수종을 식별하고 이중 크기가 큰 9점에 대해서는 나이테의 수와 너비 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종은 대부분$(97.7\%)$ 참나무속 상수리나무류로 밝혀졌으며 나머지 수종은 오리나무속 오리나무류$(1.6\%)$, 오리나무속 두메오리나무류$(0.3\%)$, 소나무속 잣나무류$(0.4\%)$이었다. 나이테의 수는 $8\~36$개에 이르렀으며 나이테의 평균너비는 $0.65\~1.82mm$이었다. 나이테 분석 대상 숯시료는 모두 상수리나무류로 대부분 수(髓)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심재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타이로시스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지름이 $10\~15cm$ 이상인 임목이 특별한 가공없이 수간 형태로 주거지 기둥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Species of 741 charcoal samples,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about\;2500\~3100\;B.P)$ at Hyeonwha-ri, Pyungteak, Korea, were identified. Most of samples were deciduous oaks (Quercus spp.; $97.7\%$) and others were alders (Ainus spp.; $1.9\%$) and soft pines (Pinus spp.; $0.4\%$). Tree rings of nine largest samples were also examined. The numbers of annual rings were 8 to 36 and mean ring width was rather narrow $(0.65\~1.82\;mm)$. Most samples possessed pith and tylo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logs 10 to IS cm diameter had been used for the poles of houses without further process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