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UTOPOLYMERIZED RESIN FOR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CURING TIME AND CURING METHOD

중합시간과 중합방법에 따른 자가중합형 상교정용 레진의 중합률의 비교에 관한 연구

  • Yoo, Jong-Wo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ang, Ki-Tae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유종욱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장기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김종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Published : 1999.05.31

Abstract

Autopolymerized resin facilitates a more rapid and easier means for the construction of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s than heat cured resin. But many reports reveal that more unreacted monomer is found in autopolymerized resin. It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maximum degree of polymerization because if polymerization is inadequate, high level of unreacted monomer has been shown to adversely affect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nd also the question of allergy or toxicity to methylmethacrylate must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according to curing method and curing time. Five groups were desinged ; Group 1 was polymerizied at room temperature($28^{\circ}C$) ; Group 2 in $28^{\circ}C$ water ; Group 3 in $28^{\circ}C$ water under 30psi pressure ; Group 4 in $43^{\circ}C$ water ; Group 5 in $43^{\circ}C$ water under 30psi pressure for 10 minutes, 1 hour 12 hours, 1 day and 3 days.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was measured by means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increased constantly in accordance with curing time in all groups and after curing for 10 minutes, Group 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polymerization after 12 hours and Group 2, Group 3, Group 4, Group 5 after 1 hour(p<0.05). 2.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decreased in the order of Group 5, Group 4, Group 3, Group 2, Group 1 except when the curing time was 1 hour and 12 hours(p<0.05). 3.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Group 4, Group 5 cured at $43^{\circ}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polymerization than Group 2, Group 3 at $28^{\circ}C$ except when the curing time was 1 day(p<0.05). 4. Among Group 2, Group 3 and Group 4, Group 5, the pressure had no effect on polymerization except when the curing time was 12 hours(p<0.05). 5. Between Group 1 and Group 2, the method of storage had no effect on polymerization except when the curing time was 1 hour(p<0.05).

가철성 상교정 장치에 많이 사용되는 자가중합형 상교정용 레진의 미반응 단량체는 레진의 물성과 생물학적인 면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미반응 단량체를 최소화하고 중합률을 최대로 하는 중합방법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저자는 자가중합형 상교정용 레진의 중합시간과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률을 비교해보기 위해 시편을 다음과 같이 5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교정용 레진의 분말과 용액을 혼합하여 제 1군은 $28^{\circ}C$의 공기중에 보관하였고, 제 2군은 $28^{\circ}C$의 물에, 제 3군은 $28^{\circ}C$의 물과 30psi의 압력에, 제 4군은 $43^{\circ}C$의 물에, 제 5군은 $43^{\circ}C$의 물과 30psi의 압력하에 각각 보관하였고, 10분, 1시간, 12시간, 1일, 3일 경과 후에 각 시편을 Fourier 변환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중합률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중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합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10분 경과 후의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제 1군은 12시간 경과 후부터 중합률의 증가가 유의성이 있었고, 제 2군과 3군, 4군, 5군은 1시간 경과 후부터 유의성이 있었다(p<0.05). 2. 10분과 1일, 3일 경과 후에 제 5군, 제 4군, 제 3군, 제 2군, 제 1군의 순서대로 중합률이 높았다. 3. 중합시 온도에 따른 비교에서, 1일 경과 후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간에서 $43^{\circ}C$에서 중합시킨 군의 중합률이 $28^{\circ}C$에서 중합시킨 군의 중합률 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4. 압력은 12시간 경과 후를(p<0.05) 제외하고는 중합률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5. 보관방법은 1시간 경과 후를(p<0.05) 제외하고는 중합률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