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메주에서 분리된 단독균으로 제조한 메주추출물의 혈액암세포에 대한 저해효과

Inhibitive Effects of Meju Extracts Made with a Single Inoculum of the Fungi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Meju on the Human Leukemia Cell Line

  • 한정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가공학과) ;
  • 김현정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가공학과) ;
  • 이상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생물과학 및 생물교육학) ;
  • 이인선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가공학과)
  • Han, Jung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and Science, Keimyung University) ;
  • Kim, Hyun-Jeong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and Science, Keimyung University) ;
  • Lee, Sang-Sun (Major in Biological Science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In-Seon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and Science, Keimyung University)
  • 발행 : 1999.08.30

초록

우리나라 중요한 식품 원료인 전통 매주로부터 분리한 단독균의 접종 메주의 암세포 저해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민간유래의 혈액암 세포주에 대한 저해활성을 MTT assay로 분석하였다. 먼저 전통 메주로부터 21종의 단독균을 분리한 후 각각 접종하여 발효된 단독균의 메주시료를 조제한 다음 80% methanol로 추출하였다. 메주 메탄올추출물은 혈액암세포중 HL60에서는 다소 낮은 성장 저해효과를 보였으나, U937과 Jurkat cell에서는 저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ucor속과 Absidia속 Aspergillus속으로 제조된 메주들에서 이들 혈액암세포에 대해 저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메주 메탄올추출물들은 인간의 정상 lymphocyte에서 대해서는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가 거의 없음을 보며주었다. 이는 단독균의 메주시료가 가지는 세포독성이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인 작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study the antitumoral effect of meju extracts, which was made with a single inoculum of the microorganism, the cytotoxicity effects on several human leukemia cells such as promyelocytic leukemia cell (HL60), histiocytic lymphoma cell (U937) and acute T-cell leukemia Jurkat cell, and lymphocyte were analyzed by MTT assay. Twenty one microbes, mainly fungal genera, were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s of different regions. From those collected isolates, meju was manufactured and extracted with 80% methanol, respectively. Meju methanol extracts exhibited low activites in cytotoxicity tests on HL60 cell, but high antitumoral effects of meju methanol extracts were shown on U937 and Jurkat cells. Meju methanol extracts made with a genera of Mucor, Absidia and Aspergillus showed prominant cytotoxic activities, especially. However all these extracts had no inhibitory effects on the cell growth of lymphocyte under the same condi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식품과학회지 v.9 no.1 몇가지 한국식품 중 aflatoxin의 검출 김용화;황보정숙;이서래
  2. 된장의 항 돌연변이 효과에 관한 연구 문숙희
  3. 식품과학과 산업 v.30 no.2 한국 전통발효식품(된장, 김치)의 발암안정성, 항 돌연변이 및 항암 기능성 박건영
  4.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0 no.1 한국산 재래식 발효메주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서화중;정두례
  5. 한국식품영양학회지 v.26 no.5 메주에서 분리되어 단독균으로 발효된 메주와 간장 이상선;성창근;배종찬;유진영
  6. J. Food. Hyg. Safety. v.11 no.1 전통 약용 식물 권백(Selaginella tamariscina)의 항암효과에 대한 혈액암세포주 U937의 감수성 및 그 작용기구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이인선;박성희;이인자
  7. 된장추출물과 Linoleic acid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이정민
  8. Linoleic acid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임선영
  9. 한국 농화학회지 v.13 no.1 한국 재래식 간장의 발효 미생물 연구 조덕현;이우진
  10. Fd. Cosmet. Toxicol. v.19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by soya products Kurechi, T.;Kikugawa, K.;Fukuda, S.;Hasunuma, M.
  11. J. Natl. Cancer Inst. v.76 no.3 Inhibition of oral carcinogenesis by a protease inhibitor Messadi, D.V.;Billing, P.;Shklar, G.;Kennedy, A.R.
  12. J. Immunol. Methods v.208 Optimization of the sulforhodamine B colorimetric assay Papaxisis, K.T.;Geromichalos, G.D.;Dimitriadis, K.A.;Kortsaris, A.H.
  13. Cancer Res. v.4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ric assay Park, J.G.;Karmer, B.S.;Carmichael, J.;Collins, J.M.;Minna, J.D.;Gazkar, A.F.
  14. The 5th Federation of Asian and Oceanian Biochemists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f Meju, host sauce and other Korean foods by Salmonella/ mamalian-microsome test Shin, S.H.;Jhee, E.C.;Rapp, N.S.;Hong, I.S.;Chang, S.H.;Seel, D.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