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제27권2호
- /
- Pages.1-6
- /
- 1999
- /
- 1017-0715(pISSN)
- /
- 2233-7180(eISSN)
평택 현화리 토탄층 출토 목재의 수종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of Peat Woods from Hyunwhari, Pyungtaek
- Park, Won-Kyu (College of Agricultu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oon, Sung-Ju (College of Agricultu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Yung-Jo (College of Humaniti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8.09.22
- 발행 : 1999.06.30
초록
1995년 충북대 선사문화연구소에 의해 평택시 안중면 현화리 토탄층에서 발굴된 수침고목재(약 2500년전) 63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침고목재는 PEG 2000으로 포매한 후 로타리마이크로톰으로 박편을 제작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시료가 오랜 기간동안의 부후로 인하여 조직을 관찰할 수 없었기 때문에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27점만 수종을 식별할 수 있었다. 식별된 수종은 오리나무속(55.6%), 물푸레나무속(33.3%),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아속(11.1%)으로 모두 활엽수종이었으며 침엽수종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 수종의 구성으로 보아 연구지역이 마지막 빙하기이후 서해안 해수면 상승에 의해 형성된 습지나 효수 주변이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Hundred pieces of peat woods(ca. 2500 years old) were excavated in 1995 at Hyunwhari, Pyungtaek in the west-central coast of the Korea Peninsula. Among them, 63 samples representing 21 trenches were selected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Because most peat woods were rotten by fungi for long period, only 27 samples could be identified. Due to the deteriorated structure of peat woods, all samples were embedded in PEG(polyethylene glycol 2000) and then sectioned using a rotary microtome. Major species were Alnus spp.(55.6%), Fraxinus spp.(33.3%) and Quercus (Lepidobalanus)(11.1%). No conifers were found. The species composition indicates that the sample region was a swamp or lakeside, which appeared to be formed because of the sea-level rise after last-glacial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