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료종모돈이 3원 교잡종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8.01.15

Abstract

3원교잡종의 지육지방축척과 육질에 대한 종료종모돈(두록종:D, 버크셔종:B, 매산돈:M)의 영향을 보기 위해, 랜드레이스종과 대요크셔종의 F1(LW) 종빈돈에 D, B 또는 M종의 3품종의 종모돈을 교배시켜 얻은 3원교 잡종(LWD, LWB, LWM)에 대해서 지육의 지방 축적량, 로스육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조성 또는 근육섬유의 특성, 근육과 피하지방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 검토했다. 시험돈은 3원교잡종 각각에 대해서 거세돈 수컷과 암컷을 각각 6두씩, 합계 36두를 공시했다. 단사(單飼), 무제한 급여 하에서 체중이 30kg에서 105kg가 될 때까지 사육했다. 도살한 돼지의 지육우반환(枝肉右半丸)의 제5-6, 8-9, 11-12, 13-14 흉추(胸椎) 간, 제16흉추-제1요추(腰推) 또는 최후요추-제1선추(仙推)간의 횡단면지방의 면적비율은 어떠한 부분에도 LMW이 LWD, LWB보다 통계적으로 유의가 많았다. 로스육의 물리적 특성치인 Tenderness는 $LWM961.3Kgw/cm^2)$ of $LWD(84.13KgW/cm^2)$$LWD(87.22KgW/cm^2)$보다 유의적으로 부드럽고, Pliability는 역으로 LWM이 LWD, LWB보다 유의 있게 낮았다. 또 로스육의 근육내 지방함량은 $LWM(3.23\%)$$LWD(2.32\%)$$LWB(2.35\%)$보다 유의성 있게 많았고, 가열 손실율(加熱損失率)은 LWM이 LWD, LWB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근섬유경(筋纖維經)은 LWD가 LWB, LWM보다 큰 경향으로 인정되어 지고, 근속(筋束)의 횡단면적은 LWD가 LWB 또는 LWM보다 유의 있게 조밀했다. LWM은 근육 내 지방산인 오레인산이 LWD, LWB보다 훨씬 높았고,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종료종모돈이 3원교잡종의 육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