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Nutrient Elements in Surface Seawater off the West Coast of Korea

황해 중동부 해역 표층수에서 영양염 원소의 시공간적 분포

  • Cha, Hyun-Ju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You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oh, Chul-Hwan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g-Bok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2.28

Abstract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nutrient elements (ammonia, nitrate, nitrite, phosphate and silicate) in surface seawater off the we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during three periods of field survey aboard R/V Eardo of KORDI (May 1995 and June 1996) and a patrol vessel of the National Maritime Police (November 1995). In general,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 elements were lowest in June and highest in November except for ammonia that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in May and the highest in November. The results tell us that the development of thermocline and tidal front restricts riverine and benthic supply of nutrient elements to surface waters in June in the offshore regions of the study area which become nutrient-depleted due to phytoplankton bloom in spring. In late fall (November) the level of nutrient concentrations of the surface waters of the study area become high due to vigorous vertical mixing within the water column, which supplies nutrient-enriched bottom water to the surface waters.

황해 중동부 해역에서 영양염 원소들의 시, 공간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1995년 5월과 1995년 11월, 1996년 6월의 세 차례에 걸쳐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표층수에 대해 염분, 온도, 부유물질 및 입자태 유기탄소와 암모니아, 질산염, 아질산염, 인산염, 규산염 등의 영양염 원소를 분석하였다. 세차례의 현장 조사에서 표층수의 영양염 농도 분포는 암모니아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6월이 가장 낮고 11월이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한편, 암모니아는 5월에 가장 낮은 농도 분포를 보이고 11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봄에는 5월에 식물 플랑크톤의 1차 생산 활동으로 영양염이 고갈된 외해역의 표층수는 6월로 되면서 수온약층과 조석전선의 발달로 저층과 강으로부터의 영양염 공급이 더욱 제한되고, 봄철 식물 플랑크톤 대번식기에 증식된 동물 플랑크톤 또는 그 배설물 등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암모니아가 수층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11월에는 늦가을로 접어들면서 봄-여름철에 형성된 성층이 깨지고 수층의 수직 혼합이 활발해지면서 성층기간 동안 저층수에 축적되었던 영양염 원소들이 표층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