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ormal Predicted Value of Peak Expiratory Flow(PEF) Measured by the Peak Flow Meter and Correlation Between PEF and Other Ventilatory Parameters

Peak Flow Meter로 측정한 최대호기류속도(PEF)의 추정정상치 및 가타 환기기능검사와의 상관관계

  • Kim, Min-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lshin Hospital) ;
  • Kwon, Kee-Bue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
  • Yim, Dong-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
  • Song, Chang-Se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
  • Jung, Yong-Se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
  • Jang, Tae-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
  • Yeu, Ho-D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
  • Jung, Maan-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 김민철 (일신병원 내과) ;
  • 권기범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임동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송창석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용석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태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호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만홍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8.10.30

Abstract

Background: For the diagnosis or evaluation of airway obstruction in bronchial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lung disorders, various parameters derived from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curve and maximal expiratory flow volume curve have been used. Recently the peak expiratory flow(PEF) measured by the peak flow meter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convenience. But there were still no data of the predicted normal values measured by the peak flow meter in Korea.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predicted normal value of PEF and to know the accuracy of this value to predict $FEV_1$. Method: The measurements of PEF by the MiniWright peak flow meter and several parameters derived from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and maximal expiratory flow volume curves by the Microspiro HI 501(Chest Co.) were done in 129 men and 125 women without previous history of the respiratory diseases. The predicted normal values of parameters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height were obtained, and the regression equation of $FEV_1$ by PEF was calculated. Results: The predicted normal values of PEF(L/min) were -2.45$\times$Age(year) +1.36 $\times$ Height(cm)+427 in men, and -0.96 $\times$ Age (year) + 2.01 $\times$ Height (cm) + 129 in women. FEFmax derived from the maximal expiratory flow volume curve was less than by 125 L/min in men and 118 L/min in women respectively compared to PEF. $FEV_1$(ml) predicted by PEF was 5.98 $\times$ PEF(L/min) + 303 in men, and 4.61 $\times$ PEF(L/min) + 291 in women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predicted normal value of PEF measured by the peak flow meter was calculated and it could be used as a standard value of PEF while taking care of patients with airway obstruction. $FEV_1$, the gold standard of ventilatory function, could be predicted by PEF to a certain extent.

연구배경: 기관지 천식 환자들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진단이나 기도폐쇄 정도를 알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노력성 호기곡선이나 최대호기류량곡선을 이용한 환기기능검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들이나 자가 치료를 하는 환자들의 경과관찰에는 검사의 간편성으로 인해 peak flow meter를 이용한 peak expiratory flow(PEF)가 많이 이용된다. 이 경우 PEF의 변이성이 크기 때문에 절대값이나 증상이 없을 때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비교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검사 판정의 객관성은 추정정상치가 가장 높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최대호기류량곡선을 이용한 PEF(FEFmax)의 추정정상치의 보고는 다수 있으나 peak flow meter를 이용한 보고는 아직까지 없었다. 이에 실제 환자들이 스스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PEF의 추정정상치를 산출하고 이 값이 $FEV_1$을 비롯한 다른 환기기능검사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조사 연구하였다. 방 법: 호흡기 증상이나 기왕 병력이 없는 건강한 남자 129명(나이 ; 19-74 세), 여자 125명(나이 ; 18-67세)을 대상으로 외래에서 mini-Wright peak flow meter(Clement Clarke International Ltd. England)를 이용하여 3 회 이상 PEF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Microspiro HI-501 portable spirometer(Chest Co., Japan)로 노력성호기곡선, 최대호기류량곡선을 측정 분석하여 $FEV_1$, FVC, $FEV_1/FVC$, $FEF_{25-75%}$, $FEF_{25%}$, $FEF_{50%}$, $FEF_{75%}$와 FEFmax를 구하여 각각의 추정정상치를 구하였고 PEF의 $FEV_1$ 및 FEFmax에 대한 설명력을 회귀분석을 통해 구하였다. 결 과: PEF(L/min)의 추정정상치는 남자가 -2.45$\times$Age(year) + 1.36 $\times$ Height(cm) + 427였고 ($R^2=0.28$), 여자에서는 -0.96 $\times$ Age(year) + 2.01 $\times$ Height(cm)+129였다($R^2=0.12$). 최대호기류량곡선에서 산출한 FEFmax는 PEF보다 납자에서는 $125{\pm}74.0$(L/min), 여자에서는 $118{\pm}52.2$(L/min) 적었다. PEF로 예측할 수 있는 $FEV_1$(ml)값은 남자에서 5.98 $\times$ PEF(L/min) + 303 이고 ($R^2=0.43$), 여자에서는 4.61 $\times$ PEF(L/min) +291 이었다($R^2=0.33$). 결 론: 건강한 성인 254명(남자 129명, 여자 125명)을 대상으로 peak flow meter로 측정한 PEF의 추정정상치를 연령과 신장을 변수로 하여 구하였다. 여기서 측정한 PEF로 $FEV_1$ 및 FEFmax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측정기계 및 방법에 따라서 PEF 값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는데 이런 점을 유의한다면 PEF의 측정은 향후 환자 진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