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People's Participation on Separate Collection of Garbage

가정의 음식물찌꺼기 분리수거 방안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연구

  • 신항식 (한국과학기술원 토목공학과) ;
  • 황응주 (한국과학기술원 응용과학연구소)
  • Published : 1998.09.30

Abstract

To suggest the separate collection system of garbage in household, people's disposition was evaluated. It was indicated that garbage be collected daily to minimize the odor which was major nuisance from garbage. However, most people wanted to discharge garbage in two or three days interval, as they did not prefer frequent handling. So, proper size of garbage container was determined as two to three days capacity. In contrast with it, it was major opinion that dicharged garbage should be collected everyday by local government to eliminate the outdoor pollution. Plastic bag was the most popular container, as it could be used instantly. Price of the bag affected on the efficiency of reduction and separate collection of garbage. Low price increased the separate collection and decreased the reduction, while high price introduced the opposite result. So, the dual price system was suggested to enhance both objectives.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의 음식물찌꺼기 분리 수거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질적으로 분리 수거의 주체가 될 각 가정의 배출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분리 수거에 대한 의식과 성향을 조사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의 음식물찌꺼기 보관/배출/수거 주기에 대한 의견을 종합하면 음식물찌꺼기로 인한 냄새 발생 등을 최소하기 위해서는 매일 음식물찌꺼기를 버려야 하지만 자주 버리는 것으로 인한 번거로움도 있으므로 집안에서 2-3일간의 음식물찌꺼기를 현행 종량제 봉투와는 크기가 다른 비닐 봉투 등 별도의 음식물찌꺼기 용기에 모아 두었다 집밖의 분리 수거통에 배출하면 수거하는 쪽에서는 매일 분리 수거통에 모아진 음식물찌꺼기를 수거해가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때 사용되는 보관 및 배출 용기는 크기를 이틀 발생분(1.87L, 약 2L) 또는 3일 발생분(2.8L, 약 3L)의 두가지로 제작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음식물찌꺼기의 보관 및 배출에 적당한 용기는 비닐 봉투가 좋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비닐 봉투는 일회용이라는 점이 응답자들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봉투의 적정 가격에 대한 조사결과 전용 봉투의 가격은 싸게 하면 분리수거에 효과가 있겠으나 발생량 감소에는 그 효과가 미지수이며 비싸게 하면 발생량 감소에 효과있는 반면 분리수거에는 역효과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안으로서 봉투를 2가지 형태로 판매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