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rmatozoal Ultrastructure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Subfamily Gobioninae (Cyprinidae, Teleostei) 1. Ultrastructure of the Spermatozoa of the Korean Slender Gudgeon Squalidus gracilis majimae

한국산 모샘치아과(잉어과, 경골어강) 어류 정자의 미세구조와 계통학적 연구 1.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정자의 미세구조

  • 이영환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김구환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Published : 1998.03.01

Abstract

The spermatozoon of Squalidus gracilis majimae is approximately $36.6{\mu}m$ in length and is characterized by a spherical nucleils with the clear chromatin, a short midpiece containing the mitochondria, and a flagellum positioned tangentially to the nucleus. An acrosome is absent as in all teleost fishes. The nucleus is about $1.9{\mu}m$ in diameter and in its periphery contains the electron-lucent chromatin distinguished from the electron-dense chromatin occupying most of the nucleus. The shallow nuclear fossa contains the proximal centriole, instead of two centrioles in deep nuclear fossa in siluroids. The proximal and distal centrioles are oriented approximately $140^{\circ}$ to each other. The mitochondria of 10 or more in number are arranged in three layers and do not surround the axoneme. The asymmetrical distribution of the mitochondria and the eccentrical position of the nucleus with regard to the tail are the general pattern of the cyprinid spermatozoa. S. gracilis majimae spermatozoa have the most mitochondria and the deepest cytoplasmic canal among cyprinid species. The flagellum lacks the lateral fins.

모샘치아과의 한국고유종인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의 정자는 구형의 두부와 짧은 중편 및 긴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길이는 $36.6{\mu}m$이었다. 두부에는 다른 경골어류에서와 같이 첨체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핵은 $1.9{\mu}m$의 직경을 가지고 핵막 주변부에는 전자밀도가 낮은 염색질 부위를 포함하고 있었다. 핵와는 다른 잉어류에서와 같이 핵막이 얕게 함입되어 기부중심립만을 포함하고 있어서, 메기류의 기부 및 말단부 중심립을 포함하는 긴 핵와와는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두 중심립은 서로 약 $140^{\circ}$의 각도로 배열되어 있었다. 미토콘드리아는 중편세포질에 3층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축사를 둘러싸고 있지 않으며 축사와는 세포질관에 의해 분리되어 있었다. 정자의 꼬리에 대한 핵의 위치와 미토콘드리아의 비대칭적 배열은 잉어과 정자의 공통된 특징으로 나타나며, 미토콘드리아가 분포된 중편세포질은 다른 잉어류에서보다 훨씬 풍부하였다. 긴몰개의 정자는 현재까지 밝혀진 잉어과의 정자중에서 세포질관의 길이가 가장 길고, 미토콘드리아의 수도 가장 많이 나타났다. 편모에는 lateral fins가 관찰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