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틀 서명방식 표준 ( 안 ) 에 기반을 둔 통합서명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Digital Signature System based on Digital Signature Standards

  • 김승주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
  • 김경신 (인덕전문대학 방송통신과) ;
  • 원동호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부)
  • 발행 : 1998.04.01

초록

정보화 사회의 거의 모든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통신망 상에서의 정보보호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망 상의 정보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암호학적 도구가 디지틀 서명이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고유의 디지틀 서명 알고리즘을 표준화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또한, 1989년 Crypto'89 국제 학술회의에서 D.Chaum은 단순한 서명의 사본만으로는 서명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없고 서명의 확인을 위해서는 반드시 서명자의 도움을 받게 함으로써, 서명자에 대한 부당 위협 가능성을 줄여 주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undeniable signatures를 제안하였으며, 지금까지 많은 undeniable형 디지틀 서명방식들이 서명의 남용으로부터 서명자나 수신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In the information society, all the information is transferred through the network, so it becomes an issue to protect the data on network. One of the fundamental cryptographic tools to protect the data on network, is digital signatures, and in many countries, cryptographers have been trying to make their own digital signature standard. Also, at Crypto'89 meeting, D.Chaum suggested an undeniable signature scheme. Undeniable signatures are verified via a protocol between the signer and the verifier, so the cooperation of the signer is necessary, So far, there have been several variants of undeniable signatures to obtain a signature scheme, which can control the abuse of ordinary digital signatur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