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ultivation Method on the Growth and Yield of a Cucumber for Development of a Robotic Harvester

오이수확용 로봇개발을 위한 재배방식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Lee, Dae-Won (Dept. of Bio-Mechatronic Eng. Sungkyunkwan University) ;
  • Min, Byung-Ro (Dept. of Bio-Mechatronic Eng.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Hyun-Tae (Dept. of Bio-Mechatronic Eng. Sungkyunkwan University) ;
  • Im, Ki-Taek (Dept. of Bio-Mechatronic Eng.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Woong (Dept. of Bio-Mechatronic Eng. Sungkyunkwan University) ;
  • Kwon, Young-Sam (Dept. of Protected Cul. Divil ,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
  • Nam, Yooun-Il (Dept. of Protected Cul. Divil ,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
  • Choi, Jae-Woong (Dept. of Protected Cul. Divil ,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
  • Sung, Si-Hong (Dept. of Agricultural Machinery Eng. Kon Kuk University)
  • Published : 1998.09.01

Abstract

If the lowest leaves of the cucumber were removed or training cultivable method was changed, a computer vision system could divide well the cucumber fruit from the others, and also an end-effector could reach and grip cucumber fruit and cut well its fruit stalk.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removal leaves and training cultivable method of a cucumber could affect its growth and yield. They can help to be designed the vision system and the end-effector. A cucumber fruit grew by 6-l5cm long for 2 days regardless of removing leaves. Removal leaves didn't affect growth of cucumber fruit. Number of cucumber fruit was produced within 10% different values by three methods (A, B, C) of removal leaves. The first grade rate (best quality) of 4 B and C was 56.7%, 53.1%, 56.3% respectively. Consequently, proper removal leaves were better than traditional way, which does not remove a leaf, because they make cucumber plant ventilate more freely and absorb more light.

본 연구는 오이수확기 개발을 위하여 오이의 인식에 장해가 되는 잎의 부분적인 제거 및 기계화를 위한 재배방식이 오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세가지 형태의 잎제거 방식과 두가지 형태의 정식간격, 그리고 3가지 형태의 줄기 유인방식을 정하여 오이의 전장, 수량과 1등급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잎제거 형태에 따른 오이의 생육을 관찰하기 위해서 전장을 측정한 결과, 관행적인 제거방식의 경우, 일정 실험기간동안 평균 52.2cm 생장하였다. 또한, 2일마다 하부잎 하나를 제거한 경우에는 평균 51.5cm 생장하였다. 수확한 오이가 있는 경우 하부의 잎을 모두 제거한 경우에는 평균 51cm가 생장한 것으로 보아 평균 3%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24cm, 30cm의 주간간격에 따라서는 각각 평균 50.8cm, 51.8cm의 약 2%정도 생장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부분적인 잎제거는 오이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판별변수의 하나인 수량과 1등급비율을 잎제거 형태에 따라 비교해 보면, 관행적인 제거방식의 경우, 평균 한주당 2.6개/일 를 수확하였다. 1등급 비율은 56.7%로 나타났다. 또한 2일마다 하부잎 하나를 제거한 경우에는 평균 한주당 2.47개/일의 수확이 있었으며, 1등급 비율은 53.1%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확한 오이가 있는 경우 하부의 잎을 모두 제거한 경우에는 한주당 평균 2.48개/일 를 수확하였으며, 1등급 비율이 56.3%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량의 차이는 약 6%정도이고 1등급 비율도 10% 이내로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오이의 주간간격에 따른 수량과 1등급비율을 측정한 결과, 24cm의 경우 한주당 2.3개/일의 평균수확이 되었다. 1등급비율은 59.8%, 30cm의 경우 한주당 평균 2.5개/일을 수확하였으며, 1등급은 57.2%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량은 24cm의 경우가 약간 적었지만 1등급의 비율로 환산하면 크게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농가전체 수량을 기준으로 한다면 24cm가 유리하다고 판단되었다. 4. 줄기유인 형식에 따라 수량과 1등급비율을 살펴보면, 관행적인 방법은 평균 한주당 2.9개/일, 42.8%, 직립후횡유인은 평균 한주당 2.2개/일, 61.3%, 직립후 가로줄유인은 평균 한주당 2.2개/일, 54.1%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량과 1등급을 동시에 고려하면, 큰 차이는 없지만, 직립후 횡유인방법과 직립후 가로줄유인의 경우는 오이가 지면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므로 영상인식과 기계화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