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ulation of a New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NT0423.

새로운 Bacillus thuringiensis NT0423 균주의 제제화

  • 김호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부) ;
  • 노종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부) ;
  • 이대원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부) ;
  • 장진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부) ;
  • 제연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부) ;
  • 우수동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부) ;
  • 김주경 ((주)경농 경주연구소) ;
  • 유용만 ((주)경농 경주연구소) ;
  • 강석권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화학부)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New microbial-control agents were prepared with B. thuringiensis strain NT0423 having unique properties which are different with other B. thuringiensis strains belonging to serotype 7[Kor. J. Appl. Entomol. 32: 426-432.]. Three B. thuringiensis formulations designated as BioBact 10%, 20% and 40%, were made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adjuvants. These formulations showed good physical properties in wettability, suspensibility, particle size and adherence. In addition the result of SDS-PAGE analysis indicated that $\delta$-endotoxins remain stably in all formulations. Among the tested formulations, two wettable powder formulations, BioBact 20% and 40%, comprising 20% and 40% of B. thuringiensis technical powder showed the effective control against diamondback moth larvae (Plutella xylostella) in laboratory and field tests. Especially, when compared with commercial B. thuringiensis formulations (A and B commercial formulations) in field evaluation, BioBact 20% and 40% formulations showed equal activity up to 80% lethality and a good persistence effect which remain on leaves at least 7 days.

본 연구에서는 새로 분리된 B. thuriniensis(Bt) NT0423 균주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미생물 살충제를 개발하고 그 효력을 검정하였다. 농업부산물인 저가의 대두박과 밀기울을 이용한 새로운 SW32 배지로 Bt NT0423 균주를 대량배양하여 BioBact 10%, 20% 및 40%로 명명된 세 종류의 미생물 살충제를 수화제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 종의 BioBact 제제는 수화성, 현수성, 입도 및 부착성에서 우수한 물성을 보였고 또한 SDS-PAGE분석 결과,약 130kDa의 내독소 단백질도 안정적으로 존재하였다. 세 종의 BioBact로 명명된 제제중, BioBact 10%는 독성이 낮았지만, BioBact 20%와 40%는 배추좀나방을 공시충으로하여 시판중인 Bt 제제인 subsp. kurstaki 균주를 사용한 A 제품, Bt subsp. aizawai 균주를 사용한 B 제품 및 화학살충제와 더불어 실내 및 야외 독성검정 실험을 비교 수행한 결과, 각각 100%와 80% 이상의 매우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또한 야외에서 독성의 지속성도 다른 제제에 비해 최소 7일 이상 살충력이 유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