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한 항공사진의 정사투영사진 지도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Three Dimensional Orthophoto Map from Aerial Photograph by Digital Photogrammetry

  • 조재호 (인하공업전문대학 지형정보과) ;
  • 윤종성 (한국항공 지리정보연구소)
  • 발행 : 1998.12.01

초록

정사투영사진 지도는 입체영상에 존재하는 공액점을 수치적으로 탐색하여 높이를 결정하는 수치사진측량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공액점을 자동으로 결정하기 위한 수치영상정합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영상정합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영상 피라미드의 4가지 축척 계수 변화와 8가지 기준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른 영역기반정합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각 방법에 대한 영상정합 결과는 l/5,000 수치지도 자료와 비교하였고, 영상정합의 성공률을 분석하여 최적 기준영역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수치지형모델은 결정된 영상정합 결과와 광속조정법을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수치표고모델과 정사투영사진을 이용하여 정사투영사진 지도를 제작하였다.

A traditional method to produce three dimensional orthophoto map has been studied by digital photogrammetry which decides a height by digitally searching conjugate points on the stereo image. Many researches in digital photogrammetric field are still in progress to determine conjugate points automatically.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ffect of accuracy of area-based image matching with changing eight types of target area size using four types of image pyramid. The result of image matching to each method compared with 1/5,000 digital mapping data. We decided a optimal size of target area on a percentage of image matching. Digital elevation model is generated by matching results and bundle method. As a result, three dimensional orthophoto map is made in terms of digital elevation model and orthophoto.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