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f Assessing Soil Quality Criteria for Environmentally-Sound Agricultural Practics and Future Use

환경적으로 안전한 농업과 미래용도를 위한 토질 기준 평가 검토

  • Doug Young Chung (Dep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9.01

Abstract

Unlike water or air quality standards that have been established by legislation using potential human health impact as the primary criterion, soil quality depends on the soils primary function and its relevant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s much more site- and soil specific. A properly characterized soil quality assessment system should serve as an indicator of the soil capacity to produce safe and nutritious food, to enhance human and animal health, and to overcome degrative processes. For our proposed example, a high quality soil with regard to maintaining an adequate soil productivity as a food production resources must accommodate soil and water properties, food chain, sustainability and utilization, environment, and profitability, that (i) facilitate water transfer and absorption, (ii) sustain plant growth, (iii) resist physical degradation of soil, (iv) produce a safe food resources, (v) cost-effective agricultural management. Possible soil quality indicators are identified at several levels within the framework for each of these functions. Each indicator is assigned a priority or weight that reflects its relative importance using a multi-objective approach based on principles of systems to be considered. To do this, individual scoring system is differentiated by the several levels from low to very high category or point scoring ranging from 0 to 10, And then weights are multiplied and products are summed to provide an overall soil quality rating based on several physical and chemical indicators. Tlne framework and procedure in developing the soil quality assessment are determined by u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an alternative and conventional farm practices in the regions. The use of an expanded framework for assessing effects of other processes, management practices, or policy issues on soil quality is also considered. To develop one possible form for a soil quality index, we should permit coupling the soil characteristics with assessment system based on soil properties and incoming and resident chemica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pproaches to defining and assessing soil quality and to sugges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인간의 건강에 관련된 수질이나 대기의 기준설정과는 달리, 토질은 지협적이고 한정적인 토양의 기능과 이와 관련된 환경요소에 근거한다. 적정한 토질평가제도는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거나, 인간과 동물의 건강증진, 그리고 토양의 퇴화 과정을 나타내는 토양성능 지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이에 필요한 요소는 첫째로 수분이동과 흡착의 용이성, 둘째로 식물생장의 유지, 셋째로 토양의 물리적 붕괴에 대한 저항성, 넷째로 안전한 식품생산 기반이다. 그리고 끝으로 비용 절감 농업관리와 식품생산 요소로서 토양은 토양과 수질의 영역, 식품사슬, 지속성과 효용성, 환경과 경제성을 포함하여야 한다. 토질지표는 기본 골격 내에서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여러 단계로 분리되며, 각각의 지표는 체계의 원칙에 근거하여 다목적 접근방법을 사웅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반영하는 우선 순위와 가중치를 정한다. 각각의점수 환산체계는 낮은 단계부터 높은 단계로 또는 0주터 10의 범위에서 여러 단계로 등급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범위 수치에 가중치를 곱하고 그리고 토양의 여러 가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고려된 종합 토질등급으로 결론지어져야 된다. 토질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본 골격과 과정은 해당 지역의 대체 또는 기존의 농업방식으로 얻어진 정보를 사용함으로서 결정된다. 토질에 있어서 부수적인 과정, 관리방법, 그리고 정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확장된 기본골격의 용도 또한 고려되어져야 한다. 이외에도 하나의 가능한 토질지수의 형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토양의 특성과 토양 내로 유입되는 또는 기존의 화학물질을 연계시켜야된다. 이 연구는 토질의 평가 시 고려되어야 될 요소를 찾기 위한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