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Forest Environmental Changes on Soil Characteristics by Forest Fire

산화에 의한 산림환경변화가 토양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남이 (농업중앙회 영농자재부) ;
  • 민일식 (중부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장관순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박관수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윤원 (중부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1998.09.01

Abstract

This research has been made for influence of forest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ree-clearcutting affecting to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n water storage capacity at forest fire land in Keumsan, Chungnam. The analyzed factors were bulk density, porosity, field moistur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ir permeabil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Field moistur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air permeability at uncutting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at clearcutting sites, especially the most differences were appeared at lower slope. After 2 years passed since forest fire, the most changeable parts of soil characteristics were 5-l5cm depth below soil surface. Total Porosity, coarse pore and fine pore at uncutting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at clearcutting sites. Also, as soil depth increased, total porosity and coarse pore were decreased. Bulk density at uncutting sites was lower than that at clearcutting sites, and was decreased as soil depth increased. The order of the change trend in field moistur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ir permeability and porosity was slope lower>middle>upper. Organic matter content at uncutting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at clearcutting sites, and decreased as soil depth increased. As soil depth increased, bulk densit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ther hand, porosity, coarse pore, field moistur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ir permeabil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It was concluded that forest environmental changes by forest fire degrade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본 연구는 충남 금산군에 위치한 산화적지에서 산화후 개벌지역과 비개벌지역을 대상으로 산림식생의 존재여부가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로 인한 수저유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가비중, 공극율(조공극 및 세공극), 투수성, 통기성 및 유기물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측정인자들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화지역의 비개벌지 및 개벌지에서 토양 통기성과 투수성을 측정한 결과 비개벌지가 개벌지 보다 양호하였으며, 특히 산정보다는 산록부근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산화 뒤 2년이 경과된 후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난 부분은 표토 5∼15cm층이었다. 토양공극 분포는 비개벌지가 개벌지 보다 전공극, 조공극, 세공극이 높게 나타났으며, 토심이 증가함에 따라 전공극량과 조공극량은 감소하였다. 토양가비중은 비개벌지가 개벌지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토심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산록>산복>산정 순으로 통기성, 투수성, 전공극 등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유기물함량은 비개벌지가 개벌지 보다 높았으며 토심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토심의 증가에 따라 토양가비중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전공극량, 조공극, 통기성, 투수성 및 유기물함량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산화적지에서 개벌에 따른 산림환경 변화는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