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 Development for the Spatial Diffusion Effect Estimation of Nodal Accessibility Increment in the Subway Network

지하철 접근성 증가의 공간적 파급효과 산출모형 개발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It is likely that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intraurban accessibility as well as the accessibility value of each of the nodes in the subway network i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new linkages. The changes in the accessibility at individual nodes also affect the accessibility in the surrounding areas at some distances away from the nodes. Graph-theoretic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as a proper measurement scheme for the nodal accessibility in tracked transport networks such as subway networks. However, the graph-theoretic measurements have limitations to estimate the spatial diffusion effect on the surrounding areas. This study proposes a new model for the spatial diffusion effect estimation of nodal accessibility increment in the subway network toward the surrounding areas. Since the distance decay trend of subway station use reflect the spatial diffusion effect of the accessibility of subway station toward the surrounding area. The model is deduced from the subway station use density function which is formulat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교통망의 확충계획이 있거나 확충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그로 인한 직접적인 접근성 증가와 더불어 교통망의 개선에 따른 접근성 증가의 주변지역으로의 파급효과를 정확히 신출할 수 있다면 지역 전체의 접근성 공간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지가와 토지이용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되어 교통을 포함한 각종 지역계획과정에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그래프이론에 기반을 둔 접근성 측정모형에 의해 산출되는 결정점의 접근성 증가가 주변지역으로 파급되는 효과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특히 결정점을 중심으로 주변지역으로 거리가 멀어지면서 변화하는 지하철 접근도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지하철역의 접근도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정도는 주변지역에서 그 지하철역을 이용하는 정도와 일치한다고 보고 주변지역의 지하철역 이용밀도를 기반으로 수학적 함수식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최근 지리적 분석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GIS기법에 접목시켜 지표현상의 설명에 핵심이 되는 접근성의 공간적 보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