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ice Economies and the Spatial Transformation

서비스 경제화와 공간의 변용

  • 이희연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economies and their impacts on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Korea during the last IS years. This study reviews the different perspectives for the tertiarization Process. It focuses on the spatial variation in the growth and location of Producer service industries. Based on the analyses of industrial and occupational compositions, services. particularly producer service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creating new job opportunities since the late 1980s. The ratio of services to merchandise trade is approximately 1:4, but service trades have increased since the early 1990s. Producer service activities have grown very rapidly,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ice has been over-concentrated in Seoul. Further headquarters of bank and insurance services are overwhelmingly concentrated into Seoul. The firms whose headquarters are located in Seoul have linkage Pattern on a nationwide scale. The pattern of employment growth in producer services shows a clear core-Periphery disparity. In the light of the observed pattern of regional differentiation in producer service employment, some wider implications of the distribution of producer service activities for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are considered.

본 연구는 서비스 경제화 추세가 진전되면서 공간에 어떠한 변용을 가져오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경제의 서비스화가 진전되면서 서비스업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 패턴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차별적인 서비스업의 성장과 그에 따른 입지는 공간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15년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서비스업종은 생산활동과 연계가 깊은 생산자서비스업으로, 이 업종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으로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사기능이 주로 집적되어 있는 핵심지역이 기술, 정보, 지식 집약적인 생산자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이들 지역으로 생산자서비스업체들이 집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서울을 세계 대도시들 속에서 경쟁력있는 도시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고차적 생산자서비스업을 육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지역들과의 성장격차를 심화시키지 않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