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Unionism and Wage Dispersion Within-Industry in Korea

산업내 임금분산도에 대한 노조 효과

  • 남상섭 (중부대학교 경제통상학부)
  • Published : 1998.11.0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ism and wage dispersion in Korea. This paper presents a model of in which unions, wage, and wage dispersion are simultaneously determined. This paper examine not only the effect of unions on wage dispersion, but also the effect of wage dispersion on the level of unionism. The estimated equalizing effects of unions on within-industry wage dispersion are found to be significant. By increasing 1% in the organized rate of trade unions, Wage dispersion is reduced about 0.05%∼0.11%. But the effect of wage dispersion on the level of unionism is not found.

본고에서는 노동조합운동과 임금, 그리고 임금분산도가 동시에 결정되는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임금분산도에 대한 노동조합의 효과뿐만 아니라 노조 조직결성에 대한 임금분산도의 효과를 실증 분석한 것이다. 노조의 산업내 임금평준화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노조 조직률이 1% 상승함에 따라 임금분산이 0.05%-0.11%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분산이 노조의 조직결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어 노조 조직률에 대한 임금분산의 효과는 발견할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