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관 전시디자인에 있어서 연출기법과 디자인기획과정에 관한 연구-수산 과학관 전시기획 과정을 사례로 하여-

A Study on the Space Production Techiqueds and the Planning Process for Designing a Science Museum-using the sample case of design a marine science museum-

  • 신문영 (원광대학교 산업디자인 학과)
  • 발행 : 1998.05.01

초록

자연과 인간, 과학기술의 조화를 요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과학관은 대중에게 친숙한 공간이 되어 그 수요가 늘고 있다. 과학기술문화에 대한 정보는 산업화, 정보화, 전문화 사회에 있어 미래를 개척하는 힘이다. 따라서 그러한 정보를 전달하는 전시관은 적극적이고 활발한 정보의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계획되어야 하는데 그것은 잘 짜여진 전시 연출의 기획과정을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전시관의 디자인에 있어서 연출의 중요성을 밝히는 데에 의의를 둔다.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과학관의 기능과 역할을 고찰하고 전시 연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다. 2. 전시공간을 연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매체와 기법을 제시하고 연출 사례를 연구한다. 3. 구체적인 전시 연출의 기획 과정과 연출에 따른 시나리오를 제안하여 연출의 효과와 중요성을 밝힌다 연구 결과 연출은 전시의 효율성(활발한 정보의 커뮤니케이션)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며 따라서 기획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In reflection of the current trend of times requiring the harmonization of nature, human being and scientific technologies, science museum has become more and more familiar to public and demand on it is also increasing. Information on the cul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an engine for exploiting the future, particularly in the industrialized, informationalized and specialized society. Thus the science museum, the function of which is to convey such information, should be planned with the purpose of active and progressive communication. This purpose of planning can be achieved through well established process of the exhibition space produc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the exhibition space production in the design of the science museum and proceeds as follows. 1. The concept of the exhibition space production is established following the review of function and the role of science museum. 2. The methods and the media used in the exhibition space production are suggested and the case study is made. 3. The scenarios for the exhibition space production planning are suggested and the effect and importance of the space production is enlighten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pace production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exhibition in the science museum and that space production process should be reflected in planning the projec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