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ADE특성에 따른 매장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The Visual Expression in a Store by the Characteristics of Facade

  • 송인호 (성균관대학교 산업디자인 학과)
  • 발행 : 1998.05.01

초록

상업공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는 현대의 고도 산업사회에서는 대량생산, 대량유통체계의 판매촉진수단으로서 극히 중요한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생활의 질적 향상으로 인해 다양화, 개성 화되고 있는 고객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그 역학이 한층 중요시되고 있다. 더욱이 상업건축물의 입면은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있어서 매장의 레이아웃을 비롯한 전시공간 설정 및 표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장의 입면 유형은 정보를 제공하는 선전 소구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외부공간구성의 중요한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입면을 이루고 있는 도입부공간은 매장의 일부이며 가로(街路)공간과도 관련되어 있어 그 기능적인 문제와 표현상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매장과 가로의 양측 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내부와 외부의 절충공간으로서의 도입공간을 중심으로 매장에 있어 서 입면이 갖는 제반 특성을 파악하고 각 특성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였으며, 매장의 입면유형이 매장환경에 미치는 제반요소인 구획, 유도계획, 배치계획 등과의 관계를 제 조명하려 하였다. 따라서 서울 명동소재의 패션전문매장이 현황조사를 통해 입면 유형과 비주얼 프리젠테이션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개념에 입각한 공간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Display in commercial spa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s in modem advanced industrial sectors as means of promoting the volume of sales. Additionally, consummers' preferences are more complicated and various than before because of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order to satisfy the various comsumer's desire, the role of display must be an important factor in commercial space. On the other hand, the facade of commercial buildings in the concept of visual merchandising has important effect on the commercial space such as layout of a shop, setting up presentation space, and visual expression. The structure of the facade of the store provides not only an advertising function but also an important position to the composition of external space. Besides, enterance space is a part of a store,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outdoor spac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 store and outdoor spac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terms of functional and expressional problems.This study introduces all sort of characteristics of the facade of enterance speac in the commercial buildings.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istics. Moreover, it analyzes the effect of facade style on shop environment such as zonning, inducement plan, and allocation pla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57 fashion stores, located in Myung-Dong(Seoul),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ade style and visual presentation. Finally, it suggests the desirable direction of space composition based upon the concept of visual merchandis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