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자동차 스타일의 형성기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arlier Automobile Styling

  • 이호숭 (경기대학교 디자인공예학부)
  • 발행 : 1998.05.01

초록

중세 유럽에서는 각 지방의 귀족들이 지배하는 독특한 문화와 풍토 속에서 코치빌더에 의해 지역 특색이 나타나 있는 개성 있는 형태의 마차가 제작되었다. 이러한 마차는 구동수단으로써 엔진이 장착되어진 초기 자동차가 등장하는 시기의 차량 형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후, 가솔린 엔진의 보급으로 자동차는 크기와 무게에서 유연성을 갖게 되며, 성능과 디자인 측면에서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초기 자동차 제작이 시사하는 중요한 점은 기능에 대한 순순한 접근과 시대성을 표현하는 스타일링의 단계적 진보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전과정이 배경에는 관련 산업의 진보와 함께 각 지역의 사회적 영향이 자동차의 형태에 반영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대량 동력 화(mass-motorization)된 현대 사회에 있어서 자동차에 대한 무한한 요구와 다양화를 추구하는 시점에서 시간의 영속성과 자동차 디자인이 취해야할 본위를 재고해 볼 수 있는 계기로 삼아보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In the medieval age of Europe when the noble people of various regions enjoyed unique cultures and life styles where made by coachbuilders. Such coaches would later affect the styles of the earlier automobiles equipped with the driving engine. Later, as the gasolines engines began to be distributed, the automobiles could afford to be flexible in terms of size and weight, while their performances and designs began to be enhanced rapidly. The important aspect of earlier automobile manufacturing was the phased development of styling which represented the pure approach to functions as well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It can be known that such a development of automobile styling reflected the concerned industrial advancement and social influences of each region. At this juncture of time when the massmotorized modern society's demands for automobiles are unlimited and diversified,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fundamental implications of automobile designs over tim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