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s

해외 한인의 지역별 특성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There are about 5,300,000 overseas Koreans in the world. This is about 11.8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They reside in more than one hundred nations. This exodus occurred due to forced emigration, escape from oppressive regimes, and economic opportunity. Most of them are living in the four regions, that is, China, Japan, America, and Central As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Korean migration to overseas and to compare the life style of overseas Koreans. The data are taken from a sample survey, which was conducted in China, Japan, America, and Central Asia. A total of 300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in each country.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lives of overseas Koreans. For example, the Koreans in Central Asia may have suffered the greatest hardship, the similar case was found in the Koreans in China. By contrast, the issue of ethnic conflict become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the Koreans in Japan. This study also shows many aspects of common Korean heritage, that is, hard work, diligence, and high level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overseas Koreans are trying to retain Korean traditional values and relationships in their families.

그동안 해외 한인에 대한 관심은 주로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삶에 그 초점이 주어졌다. 이주 지역에서 어떤 역사적 과정을 거쳐 오늘의 삶의 터전을 이룩하였으며, 한인 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이에 반해 해외 한인들의 삶과 의식을 서로 비교, 분석하려는 시도는 자료수집의 어려움 때문에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해외 한인들의 삶을 비교, 분석하는 작업은 무엇보다도 해외 한인의 특성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지역적 편차를 조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함께 연구결과는 해외 한인들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성공적인 해외 교포 정책 수립에는 전체적인 시각과 함께 지역적 편차를 고려하는 노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한인의 해외이주 유형을 살펴보고 해외 한인의 생활 양식의 특성을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 일본, 중국, 중앙아시아 한인들의 사회, 경제적 상황과 문제점 등을 추출함으로써 향후 한민족 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주 유형은 최악의 삶을 벗어나고자 했던 농업이민, 망명이민, 노동이민의 성격이 강한 구이민과 1960년대 산업화시기에 미국과 남미를 중심으로 가족이민과 투자이민의 성격이 강했던 신이민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해외 지역 한인들의 생활 가치관, 생활상의 문제점, 현지 적응력 등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