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Runoff Simulation at River Network by the WWASS(Watershed Water balance And Streamflow Simulation) Model

유역물수지모형(WWASS)에 의한 임의 하천지점에서 일별 유출량의 모의발생

  • 김현영 (농어촌진흥공사 조사설계처) ;
  • 황철상 (농어촌진흥공사 조사설계처) ;
  • 강석만 (농어촌진흥공사 조사설계처) ;
  • 이광양 (농어촌진흥공사 조사설계처)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When various elements of water balance are displayed at several points of a river network, the runoff amounts at an estuary especially tidal influenced are affected from the elements.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a model that can generalize and formulate the elements and simulate daily runoff and water requirement. The WWASS model was built using DIROM for the simulation of daily runoff and water requirement, and the water balance elements were modeled to be balanced at the each control point of river network. The model was calibrated, verified and applied to the watershed for the Saemankeum tidal land reclamation development project. It showed that the results from the streamflow simulation at the Mankyung and Dongjin estuary were acceptable for the design of the Saemankeum estuary reservoir.

여러 소하천으로 이루어지는 수계에서 복잡한 물수지 요소가 여러 지점에서 발생하는 하천 말단 특히 감조지역에 수자원 시설물을 설치하고자 할 때 유입량의 추정이 문제가 되며 물수지 요소의 변동에 따라 말단의 유출량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는 하천의 유입.유출요소의 정형화를 필요로하며 소유역의 일유출량 추정 모형을 필요로 한다. WWASS 모형은 일별 유입량과 펼요수량 추정 모형으로써 DIROM을 사용하고 있고 물수지 요소들을 하천의 조절점(control point)을 중심으로 처리하도록 되어있다. WWASS 모형을 새만금지구 유역에서 보정 과 검정을 거친 후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지점에 적용한 결과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농공학회지 v.30 no.1 관개용 저수지의 일별유입량과 방류량의 모의발생 김현영;박승우
  2. Program 해설 제1집 농업진흥공사
  3. 새만금지구 간척종합 개발사업 수문조사 보고서 농어촌진흥공사
  4. 농어촌용수의 개발 및 최적이용 모형화 연구Ⅲ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
  5. Handbook of applied hydrology Chow, V.T.
  6. SSARR program discription and user manual USs Army Corps of Engineers
  7. HYDROSS-Hydrolgic River Operation Study System, User's guide US Bureau Recla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