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비용의 인식과 공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disclosure of Environmental Costs

  • 전영승 (상지대학교 상경대학 회계학과)
  • 발행 : 1998.12.31

초록

환경회계는 환경비용을 식별하고 측정하여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환경비용의 측정방법과 인식기준을 고찰하고 둘째, 환경비용의 공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관련문헌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조사방법을 이용한 이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비용은 발생원천과 기능 및 형태를 고려하면 환경오염 비용과 환경보전비용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둘째, 환경비용의 측정방법은 다양하지만 거의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것이어서 환경비용의 정확한 측정은 아직까지 어려운 실정이다. 셋째, 환경비용의 인식은 발생주의 원칙에 따라 전기오류수정손익으로, 당기비용 또는 손실로, 차기로 이연하여 자본화한다. 넷째, 환경비용의 공시는 재무제표확대모형, 절충적 모형, 독자적 보고모형 등이 있으나 단기적으로 전통회계의 틀 속에 계정을 추가하거나 보충명세서로 환경관련정보를 공시하는 재무제표의 확대모형이 적용하기 쉽다. 본 연구의 내용은 우리나라의 환경비용회계처리기준의 제정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Environmental accounting identifies and measures environmental costs and provides them to interested parties of corpor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s the method of measurement and the timing of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costs. Second, it suggests the method of disclosure of environmental cost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and studies in advanced countries and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1) environmental costs are classified into environmental pollution cos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cost, by considering the sources of occurrence of, the functions of and the types of environmental costs. (2) the methods of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costs are various but they almost all subjective and arbitrary. So an accurat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cost is actually difficult. (3) According to the accrual basis, environmental costs are recognized respective to prior period adjustments, expenses or losses of the current period and the assets of the next period. (4) There are 3 methods of disclosure of environmental costs: an extension model of financial statements, a compromise model, and an original model. An extension model financial statements is easy to apply in business practice because it discloses environmental costs by adding accounts into the framework of a traditional accounting system or supplementary reports.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ccounting standards for environmental costs in Ko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