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Travel Behavior and Destination Choice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관광지 선택행동의 실증분석

  • Sim, Sang-Wha (Department of Tourism Administration, Kangwon University) ;
  • Kim, Wol-Ho (Department of Tourism Interpretation Wonju college)
  • 심상화 (강원대학교 경영대학 관광경영학과, 동우전문대학 관광과) ;
  • 김월호 (원주전문대학 관광통역과)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Tourist Market Segmentation is to find descriptive variables which can describe the changes of tourist demand properly. There are many descriptive variables. Among them, vital statistical variables were proved to be effective. The strongest variable but which was studied much less is the Family Life Cycl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Life Cycle and Travel Behavior of Destination Choice. In this study, I will verify the validity of Family Life Cycle as a descriptive variable of Tourist Market Segmentation, and try to find the meaningful variable at each ste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Life Cycle and Travel Behavior of Destination Choice, to verify the validity of Family Life Cycle as descriptive variable and to find the strategy to respond to the increase in quantity and diversity of quality of Tourist Market. The studies on the Family Life Cycle should be updat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s standard for Tourist Market Segmentation i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

관광의 영향력을 파급시키는 주체인 관광객이 어떤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어떻게 관광 목적지를 선택하게 되는지의 문제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것이라 하겠다. 이들 관광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사회 환경적, 판매 촉진적 영향 요인이 있으며, 이 가운데 개인적 영향요인(지자, 학습, 성격, 동기, 태도)에 대하여는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바, 사회환경적 요인(가족, 사회계층, 준거집단)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인인 "가족"을 중심으로 가족의 동적인 영향력이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하나의 강력한 인구 통계적 집단 변수로서 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지 선택행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생활주기와 국민 국내관광자의 목적지 선택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마케팅측면에서 관광시장 세분화 기준으로서의 가족생활주기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각 단계별로 유의한 영향변수를 파악하여 최근 관광시장의 양적 대량화 및 질적 다양화라는 이중 구조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일조하는데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