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Trends of Informatization and Ks Diffusion Strategy of Kang Won Locals

강원 지역정보화 실태 및 확산전략에 관한 연구

  • Im, Jae-Hwa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angji University)
  • 임재화 (상지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of informatization in Kang Won province, the major goals of diffusion for the advanced informational societ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i) The basic goal for local informatization, an affluent wealthy society for our life, should be come true. (ii) The informatization should be forwarded in order to accelerate the domestic industrial promotion. (iii) The formation of nucleus cities for information backbone in Kang Won province & local informatization based on balance and combination between city and rural and between regions should be forwarded. In order to establish the domestic informatization referred above, the following specific practice should be accompanied. (a) The effective separation of role and affair on local informatiz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studied. (b) The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due to the economic unbalance between locals. (c) The preparation for local informatization spreading method by private enterprise's initiative rather than the government's. (d) The specification of the systematic support for the local informatization business by central government. (e) The establishment of collaboration with the other city, province and local government.

강원지역 정보화 실태분석을 한 결과, 첫째, 강원도민은 64.7%이상이 정보화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특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40대가 20대보다, 고학력자가 저학력자보다, 고소득층이 저소득층보다 정보화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처리, 정보전달 방법, 정보획득 방법에 있어서 정보통신의 이용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아직까지 전통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경우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화 홍보에 대해 도민들의 관심은 전시회, 학술행사, 강연회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화추진 사업의 연중계획 입안시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지금의 속도로 정보화를 추구한다면 21세기 초에는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낙관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이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강원도민들은 타시도에 비해서 정보화 정책 추진속도가 늦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고도정보화 사회로 가기 위한 확산전략 목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1) 지역정보화의 가장 기본 목표인 주민생활을 풍요롭고 윤택하게 하기 위한 정보화를 실현시켜야 한다. (2) 도내의 산업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정보화를 추진해야 한다. (3) 도내 정보중추기능의 거점도시 형성과 도농간, 지역간 균형과 조화를 이룬 지역정보화를 추진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