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기 비소세포 폐암에서 유도 화학 요법의 효과

The Efficacy of Induction Chemotherapy in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 조흥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주영돈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내과) ;
  • 손승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손창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내과)
  • Cho Heung La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oo Young D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ohn Seung Chang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ohn Chang Ha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8.09.01

초록

목적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서 방사선치료 전 시행하는 유도화학요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부터 1995년 까지 본원에서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1명의 환자는 유도화학요법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고 59명의 환자는 방사선 단독으로 치료를 시행하였다. 항암제는 cispatin 에 기초한 약물로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Co-60 또는 6 MV 선형가속기로 하루 1.8 Gy 씩 50 Gy 내지 80Gy (중앙값, 64.8 Gy) 조사하였다. 두 군간에 반응율, 생존율, 실패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반응율은 유도화학요법 군에서 48%, 방사선 단독 군에서 44% 였다. 80명의 환자 중 치료실패에 대한 평가가 46예에서 가능하였다. 유도화학요법 군에 대한 초기 실패 양상은 국소 재발 8예 (57%), 원격전이 4예 (33%)가 있었다. 방사선 단독 군은 국소재발 24예 (71%), 원격전이 5예 (29%)가 있었다. 두 군간의 재발 유형에 있어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1년 및 2년 생존율은 유도화학요법 군에서 각각 43%, 14% 였고 방사선 단독군에서 31%, 7%였다 (p=0.13). 결론 : 제 3기 비소세포 폐암에서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의 병합요법이 방사선 단독 치료에 비해 생존율에 있어서 좀더 나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원격 전이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유도화학요법이 원격전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icacy of induction chemotherapy fellowed by 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Eighty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from 1989 to 1995 at Pusan Paik hospita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wenty-o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and Fifty-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Chemotherapy regimen consisted of cisplatin-based combination (2 or 3 drugs). All patients were treated by Co-60 or 6 MV linear accelerators. Radiation dose ranged from 50 Gy to 80 Gy (median 64.8 Gy). We evaluated response rate, survival rate, and pattern of failure in both treatment groups. Results : Overall response rate i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and radiotherapy alone group were 48% and 45%, respectively. Of the 80 patients, 46 patients were evaluable for pattern of failure. Initial failure pattern i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was as follows: 8 (67%) at locoregional, 4 (33) in distant metastasis. Radiation alone group was 21 (71%) and 5 (29%), respectively.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of distant failure betwee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and radiation alone group. The 1 and 2 year survival rate in induction chemotherapy group were 43% and 14%, respectively and in radiotherapy alone group, 31% and 7%, respectively (p=0.135). Conclusion : In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showed increased tendency in survival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duction chemotherapy seems to have no effect of decreasing distant failure and no survival advantage compared with radiotherapy alo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