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Gas Release Dispersion and Explosion in Pipeline

파이프라인에서의 가스누출 확산과 폭발 영향평가

  • Jung In-Gu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 Yoo Sang-Bin (Dept. of Safety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 Lee Su-Kyung (Dept. of Safety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 Kim Lae-Hyun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정인구 (서울산업대학교 화학공학과) ;
  • 유상빈 (서울산업대학교 안전공학과) ;
  • 이수경 (서울산업대학교 안전공학과) ;
  • 김래현 (서울산업대학교 화학공학과)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The risk assessments for gas leak in underground pipeline are conducted about the explosion accident of AHYUN-DONG underground service-base on December, 1994(Gaussian gas, LNG) and the accident of TAEGU subway on April 1995(Heavy gas LPG). We have calculated the total mass of gas release and have respected the efficient of explosions with report of the spot. The dispersion zones of LNG were calculated as large as fifteen times to those of LPG by ALOHA. The effects of thermal radiation from LNG explosion were assumed less than that from LPG by PHAST.

본 연구에서는 파이프라인 가스 수송시에의 가스누출사고에 관하여 gaussian gas인 LNG의 경우 1994년 12월 아현동 지하공급기지 폭발사고와 heavy gas인 LPG의 경우 1995년 4월 대구지하철 공사장 폭발사고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즉, 밀폐공간에서의 가스 누출량을 계산하고 현장의 피해보고 결과를 토대로 폭발효율을 예측하였다. 또한, LNG와 LPG가 동일양의 가스가 개방계로 누출되었다고 가정할 때, ALOHA와 PHAST모델에 의해 그 피해를 예측한 결과는 대구 모델의 경우 LNG의 폭발한계 범위내의 확산면적은 LPG에 비해 약 15배정도 적은 것으로 계산되었고, 복사열 영향도 LNG가 LPG보다 그 영향이 작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