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MORAL DEVELOPMENT INVENTORY FOR ADOLESCENTS

한국판 청소년용 도덕발달수준 평가도구의 개발

  • Shin, Jee-Yo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Kangdong Sacred-Heart Hospital) ;
  • Cho, Soo-Churl (De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신지용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신경정신과) ;
  • 조수철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 Published : 1997.12.31

Abstract

Objects: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Korean form of Moral Development Inventory for Adolescents designed to assess the principled morality in adolescents. And the auther also intended to find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moral development. Methods:The Korean form inventory was applied to 507 middle and high school adolescents, and retest was done in 42 second year middle school adolescents with 3 weeks interval. Together this inventory, short form of Rest moral development which had been prov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dministered to the all subjects for concurrent validity. And then the author examined whether this inventory discriminates between conduct disorder patients, psychiatric controls and normal controls in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Results: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very satisfactory. Concurrent validity with this inventory was also high level. And conduct disorder patients were scored significant lower than psychiatric and normal controls in the level of principled morality. The mean PM scor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sex, birth order and religion.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evel of mother and places. Conclusions: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form of Moral Development Inventory is a reliable and valid rating inventory to assess the moral development level in Korean adolescents.

본 연구는 일반 청소년은 물론 문제 행동을 나타낼 가능성이 보다 높은 소위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도덕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갖추어진 평가도구를 개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개발하고자 하는 평가도구이며,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남녀 한 학급씩을 무작위 선정한 507명을 포함하여 품행장애군과 정신과 환자대조군 각 28명씩을 검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평가도구의 골격이 되는 Rest의 원문에 관하여 그 검사도구의 제작 및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과정과 결과를 숙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우리의 문화와 정서에 맞는 이야기 구성을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는 정신과 전문의 두 명과 임상심리학 전문가 한 명과의 의견교환 및 자문으로 작성하였다. 일차적으로 만들어진 평가도구는 중학생 여섯 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에서 나타난 보다 실제적 측면에서 평가도구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최종 평가도구를 구성하였다. 최종완성된 평가도구의 타당도 평가에는 세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첫째로 구성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발달에 따른 구성 요인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학년의 증가에 따른 도덕발달수준의 증가 여부를 살펴보았는데, 학년의 증가라는 발달에 따라 본 연구의 구성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도덕적 판단능력의 분명한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 기존의 간이형 설문도구와 비교하여 보는 공존타당도를 보았는데, 두 도구간의 상관계수는 0.87이었다. 세째로 변별타당도는 품행장애군, 정신과 환자대조군, 정상대조군 각 28명씩을 대상으로 시행한 성적을 비교분석으로 평가하였는바, 품행장애군과 다른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신뢰도 평가를 위하여 정상 청소년 42명과 품행장애군 28명을 대상으로 3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하여 평가분석하였는데, 그 상관계수는 정상군에서는 0.88, 품행장애군에서는 0.63이었다. 각 이야기와 전체간의 상관 정도를 측정하여 내적일치도를 구한 결과 Cronbach’s alpha가 0.71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