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xiolytic Effect of Ginseng Total Saponin

홍삼 사포닌의 항불안 효과

  • Ryu, Sung-Mi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Hyung-Ba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ong-Bum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a, Jeoung-Hee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Jin-Kyu (Korea Ginseng and Tobacco Research Institute)
  • 류성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박형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종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하정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박진규 (한국인삼연초연구소)
  • Published : 1997.06.25

Abstract

Ginseng root, as a folk medicine, has been used in far eastern countries for thousands of years. Ginseng extract has been shown to have a variety of effects on the activity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promoting stimulation as well as inhibition of the cortical activity. A survey of the relevant literatures has indicated that the putative anxiolytic activity of red ginseng has not been scientifically investigat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anxiolytic effect of gingseng total saponins(GTS). The putative anxiolytic effects of several fractions of GTS were investigated in mice using an elevated plus maze paradigm. Single dose administration of TS Fr.-I showed anxiolytic action in mice. Anxiolytic effect induced by TS Fr.-I was similar to that induced by diazepam. TS Fr.-II, TS Fr.-III and TS Fr.-IV did not show the anxiolytic action compared with that of TS Fr.-I. It was suggested that regulation of GABAergic neurotransmission may be important in the action of GTS. The Interaction of GTS fractions with benzodiazepine receptor was performed using rat cortical membranes. GTS inhibited the binding of [3H] Ro 15-1788 on the benzodiazepine receptor. Among from TS fractions, the binding activity of GTS in the TS Fr.-IV was highest, which did not show the anxiolytic activity.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GTS has anxiolytic action, and this is not related to benzodiazepine receptor binding activity.

홍삼사포닌분획의 항불안작용의 양상을 검색하고자 사포닌분획을 사용하여 실험 동물에서 항불안작용을 검색하고 이들의 작용을 benzodiazepine의 대표적 약물인 diazepam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실험동물에서 항불안효과의 검정을 위하여 생쥐에게 각각 상이 한 단일성분 함량을 지닌 여러분획들을 투여 후 elevated plus maze법을 사용하여 항불안효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홍삼 ginsenoside Rg1, Rf 및 Re 등의 함량이 보다 높은 TSI 분획에서 항불안 효과를 관찰하였다.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약물 중 특히 항불안제의 작용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로 현재까지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GABA A-benzodiazepine 수용체-chloride통로 복합체에 있는 benzodiazepine 수용체이다. 본 실험결과 관찰한 홍삼 사포닌의 항불안작용의 기전 규명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홍삼 사포닌의 benzodiazepine 수용체에 대한 수용체 결합력을 관찰하고자, 흰쥐의 대뇌 피질을 검체로 하여 benzodiazepine 수용체에 대한 [$^3H$] Ro15-1788 결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홍삼 사포닌 분획들은 benzodiazpine 수용체에 결합하는 반응성을 보였으며, ginsenoside Rb, Re 및 Rd등의 함량이 높은 TSIV 분획이 가장 높은 결합력을 나타내었는데, 이 분획에서는 항불안 작용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홍삼사포닌은 항불안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이 항불안작용과 benzodiazepine 수용체에 대한 결합력과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