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결핵환자에서 초치료실패에 대한 요인 분석

Analysis of Causes for Primary Treatment Failure of Pulmonary Tuberculosis

  • 박승규 (국립마산결핵병원 임상연구소) ;
  • 최인환 (국립마산결핵병원 임상연구소) ;
  • 김천태 (국립마산결핵병원 임상연구소) ;
  • 송선대 (국립마산결핵병원 임상연구소)
  • Park, Seung-Kyu (Clinical Institute,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
  • Choi, In-Hwan (Clinical Institute,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
  • Kim, Cheon-Tae (Clinical Institute,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
  • Song, Sun-Dae (Clinical Institute,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 발행 : 1997.12.31

초록

배 경 : 최근 약제내성결핵이 결핵의 치료에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수도 증가하고 있다. 불규칙 복약, 잘못된 처방 그리고 불량한 치료순응도가 주된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표준단기초치료 처방으로 규칙적인 복약을 했음에도 치료에 실패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이에 대한 임상적 자료를 살펴보고 가능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10월 현재 국립마산결핵병원에서 치료중인 환자중 표준단기초치료 처방으로 규칙적인 복약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초치료에 실패한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나이 및 성별, 항결핵제 치료중 음주 및 흡연력, 결핵의 가족력, 처음 결핵을 진단받은 계기 및 의료기관, 의료기관으로부터 결핵의 치료과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들었는지의 여부, 초치료가 실패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의 흉부 X-선 사진상 병소의 특징 및 부위, 과거치료력 그리고 약제감수성검사의 결과등에 대해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연령별로는 19세에서 67세까지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으나 20대가 16명으로 34%를 차지하였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44예 그리고 여자는 6예로 남자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2) 초치료기간중 흡연과 음주여부에 대해서는 22예에서 흡연을, 24예에서 음주를 하였다. 3) 17예에서 가족력이 있었다. 4) 최초진단을 받은 의료기관은 보건소가 27예로 가장 많았다. 5) 결핵을 진단받게된 증상이 있었던 경우가 42예로 가장 많았으며 자각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하게된 경우는 8예였다. 6) 결핵 및 치료과정에 대한 경우는 38예였다. 7) 흉부 X-선 사진상 병소의 부위 및 특정은 양측성이 24예(48%)로 가장 많았고 43예(86%)에서 공동이 있었다. 8) 과거치료력은 29예에서 있었으며 모두 규칙적으로 복약하였다. 9) 약제감수성검사는 알 수 있었던 41명의 환자 전 예에서 약제내성이 있었으며 이 중 초회내성이 21예, 획득내성이 20예였으며 INH와 RFP을 포함하는 2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경우는 36예였다. 결 론 : 20대의 남자환자, 결핵의 가족력, 흉부 X-선 사진상 양측성 병소 혹은 잔존하는 공동성 병변 그리고 약제 감수성검사에서 INH와 RFP에 내성을 보이는 경우는 초치료실패의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Nowadays drug resistant tuberculosis is making problems in the treat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and its number is increasing. Several reasons for this are considered including irregular medication, poor drug compliance and wrong regimens. But there are treatment failure cases in spite of regular medication with short-term standard regimens. We reviewed clinical data of 50 patients to find out possible causes of this. Method : Subject of this study was 50 patients who failed in the primary treat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in spite of regular medication with short-term standard regimens. All of them were under treatment with secondary regimens in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on Oct 1996. The patient's record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nd direct interviews with patients were done. Results : There were relatively more patients in the age of 20th. Male overwhelmed in number. There were smoking in 22 patients and drinking in 24 patients during medication. 17(34%) patients had family history of tuberculosis. Public health center was the most common site for the initial diagnosis among medical institutes. 42 patients had subjective symptoms for pulmonary tuberculosis. 38 patients got sufficient explanation from medical institute about tuberculosis and medication courses. 24 patients had bilateral lesions on chest X-ray film and 43 patients had cavitary lesions. 29 patients had past history for pulmonary tuberculosis with regular medication. The results of drug sensitivity test showed resistance in 41 patients of whom we could get the results. Conclusion : Main cause of treatment failure of pulmonary tuberculosis in spite of regular medication with short-term standard regimens was drug resistance. Several factors we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high prevalence of drug resistance, including age of 20th, male, family history for tuberculosis, bilateral lesions or remaining cavitary lesion on chest X-ray fil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