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er Lung Field Tuberculosis

폐 하야 결핵

  • Moon, Doo-Seo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im, Byung-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Yeon-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Seong-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Ja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Dong-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Sohn, Jang-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Kyung-S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ang, Suck-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oon, Ho-J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Shin, Do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Park, S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Jung-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문두섭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임병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연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재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동석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손장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경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양석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윤호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동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정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4.30

Abstract

Background : Postprimary pulmonary tuberculosis is located mainly in upper lobes. The tuberculous lesion involving the lower lobes usually arises from the upper lobe cavity through endobronchial spread. When tuberculosis is confined to the lower lung field, it often masquerades as pneumonia, lung cancer, bronchiectasis, or lung abscess. Thus the correct diagnosis may be sometimes delayed for a long time. Methods : We carried out, retrospectively, a clinical study on 50 patients confirmed with lower lung field tuberculosi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ulmonary Medicine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2 to December 1994.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 Lower lung field tuberculosis without concomitant upper lobe disease occurred in fifty patients representing 6.9% of the total admission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over a period of 3 years. It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third decade but age distribution was relatively even. The mean age was 43 years old. Female was more frequently affected than male (male to female ratio 1 : 1.9).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68%), followed by sputum(52%), fever(38%), and chest discomfort(30%). On chest X-ray of the 50patients, consolidation was the most common finding in 52%, followed by solitary nodule(22%) collapse(16%), cavitary lesion(10%), in decreasing order. The disease confined to the right side in 25 cases, left side 20 cases, and both sides 5 cases. Endobronchial tuberculosis (1) Endobronchial involvement was proved by bronchoscopic examination in 20 of 50patients. (2) Mean age was 44years old and female was more affected than man (male to female ratio 1 : 3). Sputum AFB stain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culture were positive only in 50% of cases unlikely upper lobe tuberculosis, additional diagnostic methods were needed. In our study, bronchoscopic examination and percutaneous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increased diagnostic yield by 18% and 32%,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associated condition was diabetes mellitus(18%) and others were anemia, anorexia nervosa, stomach cancer, and systemic steroid usage. Conclusion : When we find a lower lung field lesion, we should suspect tuberculosis if the patient has diabetes mellitus, anemia, systemic steroid usage, malignancy or other immune suppressed states. Because diagnostic yield of sputum AFB smear & Mycobacterium tuberculosis culture was low, additional diagnostic methods such as bronchoscopy and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were needed.

연구배경 : 재 감염 결핵의 경우 대부분이 폐 상부를 침범하므로 폐 하야에만 단독으로 결핵이 있는 경우에 폐 결핵보다는 폐렴, 폐암, 기관지 확장증, 폐농양등을 먼저 생각할 수 있어 이로 인해 진단이 늦어지거나 오진 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하야에만 결핵이 침범된 환자를 대상으로 그 임상 양상과 진단 방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대상 환자는 1992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내원한 활동성 폐결핵 환자 724명중 폐 하야에만 결핵이 침범되어 있는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빈도 : 총 결핵 환자 724명중 폐 하야 결핵은 50예로 6.9%의 빈도를 보였다. 연령 및 성별 분포 : 남녀 비는 1 : 1.9로 여성에서 호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3세 이었으며 고령 층에도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임상 증상 : 기침이 34 (68%)로 가장 흔하였고 그외에 객담 26예(52%), 발열 19예(38%), 흉부 불쾌감 15예(30%)순으로 나타났다. 흉부 X-선 소견 : 우측에 더 호발 하는 양상을 보였고 침범 양상은 경변이 있는 경우가 26예(52%)로 가장 흔했고 고립종, 폐 허탈, 공통 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지 결핵 : 40%에서 나타났고 남녀 비는 1 : 3으로 여성에서 호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44세였으며 고령층에서도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검사별 양성률 : 폐 하야 결핵 환자 총 50명중 단순객담 도말 검사 및 배양으로 25명이 진단되었고,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통해 9명이 추가로 진단되었으며 세침 흡입 조직 검사를 통해 16명이 추가 진단되었다.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경우의 진단률(75.0%)이 단순 객담을 이용한 검사의 진단률(50.0%)보다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동반 질환 : 당뇨병이 18%에서 동반되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에 빈혈, 류마티스 관절염과 신증후군으로 전신성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 신경성 식욕 불량증, 위암 등의 합병증이 있었다. 결 론 : 아직 결핵 환자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폐하야에 병변이 있는 경우에 특히 당뇨병, 빈혈, 전신적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악성 종양 등 면역을 저하시키는 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결핵의 가능성을 항상 생각해야 하며 폐하야 결핵의 연령층이 젊은 연령에서 고령층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고령층에서도 이의 가능성에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폐하야 결핵에서 단순 객담을 이용한 항산균 도말 검사 및 배양 검사의 양성률이 낮으며 기관지 결핵의 동반률이 높으므로 기관지 내시경, 세침 흡입 조직 검사의 방법이 조기에 사용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진단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