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Class 'Philosophy' in tile 4th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KDC

한국십진분류법 치4판 철학류의 분석

  • 박옥화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Korean Library Association brought out the fourth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KDC last year. Compared with the former edition It Is a marked improvement. Neverthless, it leaves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order to examine and evaluate the edition more effectively, I confined my study to the class 'Philosophy'. In my judgment the problem resolves itself into following three points: 1) Each regions, blanches of philosophy is not properly balanced. As is generally known KDC was originally derived from DDC. As a result KDC and DBC are similiar with regard to their stress on the philosophical tradition of the West. In consequence, it is lacking in universality. 2) The classifiers neglected on several occassions the logical regulations of classificati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are not strictly respected. 3) The persons concerned were not well informed of philosophical conceptions and genealogies. There are some misused conceptions and disorganized genealogies of philosophy. To my knowledge these problems originate in the lack of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philosophy necessary to make the work satisfactory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inevitable for the classifiers, to ask to specialists in philosophy for mutual cooperation. Without their professional advices the classifiers will find difficulty in solving the problems and in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이 논문은 한국십진분류법 제4판 철학류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그 목적으로 쓰여졌다. 그 과정에서 개선사항과 아울러 문제점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즉 항목명칭을 합리적으로 변경한 것, 서양인명 표기상의 오류들을 바로 잡은 것, 새로운 항목을 신설한 것 등이 개선사항으로 밝혀졌다. 그런가 하면 전 분야가 균형 있게 전개되지 못한 것 구분의 원칙을 엄격히 준수하지 않은 결과로 항목간의 수평$\cdot$ 수직적 관계가 유기적으로 설정되지 못한 것, 개념의 오용과 사상적 계보에 대한 이해의 혼란에서 파생한 오류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들 가운데 예의 문제점들은 철학에 대한 충분치 못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이 같은 분석과 평가를 토대로 필자는 다음 개정을 위한 분류위원회구성에 문헌분류전문가 외에 각 주제분야 전문가를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문헌분류법의 근본적 개선은 물론 통용성 제고에도 한계가 불가피할 것이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