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사회지역분석

Analysis on Social Area of Taegu

  • Choi, Seok-Joo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7.12.31

초록

본 연구는 대구시에 거주하며 경제적 사회적으로 안정된 지위에 있는 저명인사를 대상으로 사회지역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는 도시내의 불량주거 또는 저소득층의 주거에 관한 기존의 고찰과 더불어 의의가 있을 것이다. 대구에 거주하는 저명인사는 도심의 전통적인 주거지역인 구성곽(舊城郭)의 내외에 인접한 중구와 더불어,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진행된 지역중 수성구와 남구에 밀집되어 있다. 또한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해 지정된 주거전용지역은 부유계층의 주거집단을 형성하면서 수성동, 만촌동, 대명동의 일부지역이 대구의 신흥 고급 주택지가 형성되는 계기가 된다. 오늘날 저명인사의 분포독성은 수성구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남구, 중구의 순이다. 또 저명인사의 동별 절대수와 인구 1만명당 동별 분포 밀도가 상위 6위까지 모두 같은 동(범어4, 수성1가, 봉덕2, 대봉1, 봉덕3, 만촌2)들이 포함되어 있어 이들의 두 가지 순위는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명인사들이 특정지역에 밀집하여 거주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10년간 변화특성은 저명인사의 기존밀집지역인 중구와 남구는 감소하고, 수성구에 현저한 증가를 보인다. 이것은 지난 10년간 이 지역에 꾸준히 추진된 택지개발과 학교 등 공공용지의 이전에 따른 고급아파트 지역의 형성의 영향도 크며, 교통, 생활 편익 시설의 상태외에 주거입지결정 인자로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소위 교육여건이 유리한 학군이 저명인사의 분포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지역중에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존건축물의 노후화와 시가지의 외곽확대, 전원주택의 선호 경향 등 제반 여건의 변화에 따라 저명인사의 밀집현상은 다소 완화될 것이 전망된다.

Today, rapid progress of urbanization is discovered commonly in many countrie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has led to spatial order and development process of city. Historically, Taegu was a walled city and formed mono-nucleus which was restricted by the castle. As the city grew gradually, the castle was removed as a result of diversification in traffic network, change of socio-economic environment, formation of industrial base and functional distribution. According to reconstruction maps of residential patterns, there was distinctive residential segregation among ethnic groups. Koreans in Taegu in 1939, aggregated densely in the southern and western parts of the city. The Japanese were concentrated densely in the northern and eastern parts of Taegu. And the street pattern within residential areas of the Korean people was shaped like a maze type in contrast with Japanese residential areas, which showed grid pattern of streets. This is another general pattern of almost all colonial cities, especially in Asia. Through this process, today it appears that, out of overall residential areas which occupy the highest ratio in urban land use, those for eminent people influence the functional development of urban spatial structure very heavily as a key point in urban residetial structure. Truly, residential segregation can be seen as the spatial manifestation of uneven distribution of such important scarce resources as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al distribution of the eminent people show their socially and economically stabilized standing in Taegu, taking the aforesaid situation as a background of the study. And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to examine the forming process of residential areas in the city as a theoretical supporting, to put in order on classical interpretation to formation of residential areas, and general type modern residential areas formation, and economic decision factor of land u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growth and development of eminent persons' residential areas and, at the same time, extract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attern of eminent persons' location and predict changes in the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