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uccessive Application and Residue of Fly Ash on Yield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석탄회의 연용 및 잔효가 콩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7.09.30

Abstract

In order to establish a optimum level and proper method of fly ash application for soybean cultivation, the successive three year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field applied with four application levels of fly ash, 0, 30, 60, 90 MT/ha during the 1991 to 1993. Influence of successive application and residue of fly ash in soil on soybean growth and yield was discussed. Fly ash application had a favorable effect on soybean growth, however over application such as 90 MT/ha caused to turn the color into the brown of young leaf edge and eventually to have necrosis on the leaf. This symptom was prominent under the application of bituminous coal fly ash. In the 1st year cultivation of soybean,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at application level of 30 MT/ha. In the 2nd year, application of anthracite fly ash showed the highest yield at 60 MT/ha for successive application and at 90 MT/ha for the 1st year application followed by the 2nd year residue. Application of bituminous coal fly ash showed the highest yield at 60 MT/ha for the both successive application and residue. In the 3rd year, successive application of the both fly ash was given the highest yield at 30 MT/ha, respectively indicating the decrease of yield with increasing level of application. In case of residue plot, the highest yield by the application of anthracite fly ash was made at 90 MT/ha for the 1st year application followed by 2 years residue and at 60 MT/ha for the 1st and 2nd year application followed by the 3rd year residue. But in the residue plot of bituminous coal fly ash, yield was highest at 30 MT/ha showing the decrease of yield with increasing level of residue. Enhancement i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by application of fly ash was due to the fact that fly ash contained some plant nutrients such as phosphorus, silicon, and boron etc. and reformed soil pH that caused to increase availability of nutrients in soil.

콩에 대한 석탄회의 적정시용량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91년부터 93년까지 3년동안 연용 및 잔효처리로 구분하여 시용수준을 0, 30, 60, 90 MT/ha 로 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탄회의 시용은 무처리보다 콩의 생장을 양호하게 하였으나 90 MT/ha의 과량시용은 생육초기에 엽변이 갈변되고 괴사되는 붕소독증을 나타냈으며 특히 유연탄회에서 현저 하였다. 2. 1년차 시험에서 콩의 수량은 석탄회 30 MT/ha 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2년차 시험에서 무연탄회 연용처리는 60 MT/ha, 잔효처리는 시용수준에 따라 증가되어 9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보였다. 유연탄회 연용 및 잔효처리는 6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보였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3년차 시험에서 무연탄회 및 유연탄회 연용처리는 시용수준에 따라 감소되어 3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나타냈다. 무연탄회의 1년시용후 2년잔효처리는 90 MT/ha, 2년연용후 1년 잔효처리는 6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보였다. 유연탄회의 잔효처리에 의한 수량은 모두 시용수준에 따라 감소되어 3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나타냈다. 3. 3년차 시험의 수량과 석탄회 시용수준과의 회귀분석에서 무연탄회 연용처리는 54.2 MT/ha에서, 2년연용후 1년잔효처리는 59.2 MT/ha에서 최대수량을 보였으나, 1년 시용후 2년잔효처리는 시용수준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되는 관계를 보였다. 유연탄회 연용 및 2년연용후 1년잔효처리는 50.5 MT/ha에서, 1년시용후 2년잔효처리는 52.9 MT/ha에서 최대수량을 보였다. 4. 60 MT/ha 이상의 석탄회 특히 유연탄회 시용은 붕소과잉에 의해 생육이 저해되므로 석탄회의 적정 시용량 평가는 수량과 함께 붕소과잉을 고려 하여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5. 석탄회 시용에 따른 토양 pH, 유효인산, 유효규산, 및 유효붕소 함량은 석탄회의 시용수준 및 연용회수가 증가할수록 직선적으로 증가 되었으며 증가폭은 무연탄회보다 유연탄회 시용에서 더 컸다. 6. 석탄회 시용에 따른 콩의 생장량 및 수량의 증가는 석탄회에 의한 양분들의 직접적 공급량 증대, 토양의 산도교정, 및 산도교정에 의한 양분 유효도 증가 효과로 해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