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경작지 식생변화 추정을 위한 여주, 양평, 광주 LANDSAT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LANDSAT Images of Estimated Vegetation Index and Paddy Area

  • Jung, Won-Kyo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Rim, Sang-Kyu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Shin, Jae-Su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발행 : 1997.06.30

초록

경기도 여주, 광주, 양평 등 13개 면지역의 '83 및 '94년 9월에 관측된 LANDSAT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일 지역의 연차간 식생의 변화 및 지역간 식생의 변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생지수는 1983년 보다 1994년에 더욱 낮게 나타나 1983년의 식생이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 광주군 초월면, 양평군 양평읍, 여주군 흥천면 등은 특히 식생의 변화가 매우 큰 지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중부 고속도로 건설 및 도시개발로 인한 식생의 파괴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LANDSAT 위성자료와 영상분류기법을 이용하여 여주, 양평, 광주 지역의 논 면적을 추정한 결과 통계자료 면적대비 9%가량 높게 나타났다. 4. 통계자료와 추정된 논 면적 자료의 회귀분석 결과 ($Y=1.547+0.65X^*$, r=0.95;Y=통계자료, X=영상분석 결과) 매우 높은 직선의 상관관계(r=0.95)를 보였다.

Vegetation indices were analyzed from the LANDSAT images of Yeoju, Kwangju and Yangpyong Gun of Kyunggi Province, obtained on September 22, 1983 and September 12, 1994, to evaluate the changes in landus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able changes in the landuses in the observed area over 11 years. Particularly, in Choweol Myun of Kwanju Gun, in Yangpyong Eup of Yangpyong Gun, and in Heungcheon Myun of Yeoju Gun, decrease in the area under vegetatin was most remarkable. These changes in the area under vegetatin are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the construction of highways and the expansion of urban areas. The LANDSAT images overestimated the area under rice cultivation, when compared to the official statistic year book.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reas of the land under rice cultivation estimated by LANDSAT images for each Myun were close enough to those from the official statistics suggesting that the LANDSAT images can be used for the estimation of landuse status.

키워드